사회 사회일반

북한, "2차 고위급접촉 일정은 유효" 강온 양면전술로 정부 압박

■ 北 "전단 살포 계속 땐 더 강한 물리적 타격"

제2차 남북 고위급접촉의 성사 여부는 탈북자단체들의 추가적인 대북전단 살포문제에 대한 우리 정부의 대응에 달린 것으로 분석된다.

북한이 노동신문 등 여러 매체를 통해 11~12일 대북전단 살포를 비난하며 잇따라 '2차 남북 고위급접촉의 무산 가능성'을 경고하면서도 향후 남북관계가 우리 정부 당국의 태도에 달렸다면서 여지를 남겼기 때문이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과거 남북 간 군사적 충돌이 있었을 때는 국방위원회 등에서 강도 높은 항의와 비판을 했던 것과 달리 이번 서해 및 육상에서의 총격전 이후에는 그런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면서 "북한도 고위급접촉에 대해 관망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에 따라 양 교수는 향후 대북전단에 대한 정부의 대응이나 당국자들의 언행이 2차 고위급접촉 개최에 있어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남측에서 삐라를 계속 살포하거나 당국이 언행에 신중을 기하지 못한다면 (고위급접촉이) 무산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남북은 지난해 6월에도 남북당국회담에 합의했으나 북한이 회담 대표단의 급을 문제 삼으며 일방적으로 취소한 바 있다.

유호열 고려대 북한학과 교수도 대북전단 살포에 대한 정부의 대응이 2차 고위급접촉의 관건이 될 것으로 분석했다. 유 교수는 "아직 대화의 문이 완전히 닫혔다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에 북측과 계속 논의하며 2차 고위급접촉 일정을 정하고 의견을 절충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12일 "2차 고위급 접촉은 이미 합의한 사안이기 때문에 지켜져야 한다"는 기본 입장을 재확인했다. 또 대북전단과 관련해 "과거에도 우리 국민의 신변 안전 문제가 있으면 필요시 안전 조치를 해왔고 앞으로도 그런 입장이 적용될 것"이라고 말해 대북전단 살포를 정부가 제한할 수 있다는 입장을 시사했다.

한편 박근혜 대통령은 13일 주재하는 통일준비위원회 2차 회의에서 북한 실세 3인방이 대화모드를 재개한 뒤 연이어 긴장국면을 조성하고 있는 것에 대해 '대화의 문은 열어놓겠지만 도발에는 단호하게 대응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