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행담도개발, 청계천 사건과는 달라"

"與 뼈깎는 각오로 일신해야"

김두관(金斗官) 대통령 정무특보는 30일 대통령자문기구가 지원한 행담도 개발사업과 관련, "청계천처럼 공무원 뇌물사건이 아니라정책적 판단을 잘못한 것"이라고 밝혔다. 김 특보는 이날 오전 CBS 라디오와 SBS 라디오 시사프로그램에 잇따라 출연, 이같이 말한데 이어 정치권 일각에서 `대통령 연루설'이 제기되고 있는데 대해서는 "동의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열린우리당의 지지도 하락에 대해 "4.15 총선에서 제1당이 된 뒤 국민의기대치가 높았음에도 집권여당으로서 국민의 피부에 와닿은 정책을 주도하지 못해많이 실망한 것 같다"며 "그 결과가 재.보선에 반영된 것으로, 뼈를 깎는 각오로 일신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4.30 재.보선 참패을 둘러싸고 현 지도부의 책임론이 제기되고 있는 것과관련, "재.보선 공천은 이전 지도부가 결정한 성격이 강하다"며 "지금 지도부의 책임이라기 보다 4.15 총선에서 1당을 만들어줬던 국민들의 기대가 만족되지 못한 부분도 있다"고 말했다. 김 특보는 또한 "정무특보 부활로 당정분리 원칙이 흔들리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여전히 정치적으로 당정분리 원칙을 견지하고 있다"며 "국민의 입장에서 중요하나 상층부에서 빠뜨릴 수 있는 부분을 잘 챙겨 정책에 반영하는 `민심특보' 역할을하라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답했다. 그는 내년 경남지사 출마 가능성에 대해서는 "정무특보로 위촉된 뒤 현안이 많이 생겨 고민하지 못했다"고 말하면서도 "내년 지방선거는 매우 중요하며 현장의 비전을 갖는 사람이 제도권에 진출해 지방분권을 완성해야 할 것"이라고 말해 출마할뜻이 있음을 시사했다. 이와 함께 김 특보는 최근 전북대 특강에서 "자치와 분권을 반대하는 세력은 중앙의 고급 관료와 언론, 국회(의원)"라고 밝힌 것과 관련, "반(反) 자치세력으로 규정했다기 보다 반자치 문화를 가는 세력으로 이해해 달라"며 "중앙이 갖는 권한, 예산이 획기적으로 지방에 이양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김범현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