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작년 주택업체 93% 집 한채도 못지었다

자금난에 부지확보 어려워<br>중견업체 부도 공포 확산<br>주택공급 위축 심화 우려

지난해 주택업체의 90% 이상이 집을 단 한 채도 짓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금 조달길이 막히고 사업부지 확보도 어려워 아예 일감을 찾지 못한 탓이다. 이에 따라 중견ㆍ중소 주택업체의 부도공포 확산과 함께 민간 부문의 주택공급 위축이 심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주택건설협회에 등록된 전국 4,906개(2010년 말 기준) 주택업체 중 지난해 실제로 주택을 공급한 업체는 287곳에 불과했다. 대형 업체들의 모임인 한국주택협회 역시 회원사 81곳 중 절반 수준인 40여개 업체만 지난해 공급실적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주택업체 4,987곳의 93%가 지난해 단 한 채의 주택도 공급하지 못한 것이다. 올해 상황도 나아지지 않고 있다. 주택건설협회가 최근 회원사들을 대상으로 올해 주택공급 계획을 조사한 결과 분양계획이 있는 업체는 289곳에 그쳤으며 한국주택협회 회원사 역시 공급을 계획 중인 업체가 50곳 안팎에 머물고 있다. 주택업체들의 이 같은 주택공급 중단은 3월 주택공급 실적에서 극명하게 드러난다.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이달 전국에서 공급된 119개 단지 중 민간업체가 공급한 단지는 19곳에 불과했다. 나머지 100개 단지는 모두 한국토지주택공사(LH)ㆍSH공사 등 공공 부문에서 공급한 물량이다. 실제로 광주지역 업체인 A사의 경우 지난 2009년부터 지금까지 신규 분양한 단지가 한 곳도 없다. 이 회사 관계자는 "돈도 없고 땅도 없는데 어떻게 사업을 하겠느냐"고 되물었다. 가뜩이나 주택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저축은행 구조조정의 여파까지 겹쳐 사업자금을 조달할 방법이 마땅치 않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나마 자금 여력이 있더라도 사업부지 확보가 쉽지 않다.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정부가 주택공급 체계를 신도시에서 보금자리주택, 도심지 개발 등으로 전환하면서 주택업체들이 양질의 택지를 확보하기는 '하늘의 별따기'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최근 민간 부문의 주택공급은 사실상 대형 건설업체와 자금력이 비교적 탄탄한 일부 중견 건설사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국토해양부의 지난해 분양승인 물량 통계를 보면 공공 부문은 전년 대비 7% 감소하는 데 그쳤지만 민간 부문은 18%나 급감했다. 주택건설협회의 한 관계자는 "주택공급은 공공과 민간, 대형과 중소업체 간의 적절한 균형이 이뤄져야 하는데 최근에는 이 같은 체계가 무너진 상태"라며 "상황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중장기 주택수급에 심각한 위기가 올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