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두산산업개발 2,797억 분식회계

95년~2001년 매출액 과대계상 자진공시

두산산업개발 2,797억 분식회계 95년~2001년 매출액 과대계상 자진공시 이병관기자 comeon@sed.co.kr 문병도기자 do@sed.co.kr 관련기사 • "前회장때 문제… 박용성회장과 관계없어" • "분식고백 집단소송대상 안돼" • ‘분식회계 고백’ 증시에 중장기 긍정적 두산산업개발이 지난 95년부터 2001년까지 분식회계를 통해 매출액 2,797억원을 과대 계상했다며 올 상반기 결산에 전액 반영, 해소하기로 했다고 8일 자진 공시했다. 두산개발은 “분식회계는 건설업체의 과당경쟁과 IMF 외환위기에서 살아 남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주장했다. 두산개발은 완공시점에 이른 건설 프로젝트의 원가 중 일부를 다른 건설 프로젝트의 원가로 이체해 매출액을 과다하게 선인식하는 수법으로 매출액과 순이익을 과대 계상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분식회계 내용은 ▦상모~수안보 도로공사 등 관 도급공사의 무리한 저가수주 손실 164억원 ▦부산 해운대아파트 등 미분양 손실 188억원 ▦시화공구상가ㆍ글로리아타워 공사중단 등에 따른 손실액 300억원 등이다. 두산개발의 분식회계 자진 공개는 최근 ‘형제의 난’으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상황과 관계가 큰 것으로 분석된다. 박용성 회장이 비자금 1,700억원을 조성했다는 박용오 전 회장의 주장에 맞서 이번에는 박용성 회장이 박 전 회장 재직시절의 분식회계 공개로 맞불을 놓았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두산개발 측은 “이번 조치는 지난달 취임한 박용성 회장이 업무보고 중 이 같은 사실을 발견하고 클린 경영 차원에서 해소하도록 지시해 이뤄진 것으로 검찰수사와는 무관하다”고 강조했다. 다른 건설업체들도 분식회계 불똥이 튀지 않을까 우려하며 선 긋기에 나서고 있다. 두산개발이 당시 관행 등을 거론하며 분식회계 내용까지 비교적 상세하게 밝혔기 때문이다. 한 대형 건설업체 회계팀 관계자는 “분식회계 규모는 두산개발(당시 두산건설)의 매출액과 비교해볼 때 엄청나게 크다”면서 “외부 회계감시가 엄격해진 지금은 분식회계를 상상도 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대형 건설업체 회계팀장은 “구멍가게식으로 수기작업을 하는 회사는 가능할지 몰라도 전사적자원관리(ERP) 시스템을 가진 대기업이라면 그런 식의 조작은 있을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한편 검찰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두산 계열사 비자금 조성 및 외화 밀반출 사건의 연속선상에서 두산산업개발의 분식회계도 수사 대상에 포함된다고 밝혔다. 황희철 서울중앙지검 1차장은 이날 “두산그룹 전체의 비자금 및 분식회계를 수사하는 만큼 두산산업개발의 분식회계도 수사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며 “특히 분식회계에 따른 횡령ㆍ배임혐의가 있었는지에 수사력을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입력시간 : 2005/08/08 17:43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