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민자유치 항만개발 본격화

광양·인천북항등 6개항 1조규모국제통화기금(IMF) 금융지원 위기 이후로 위축됐던 민자유치에 의한 항만개발이 광양항 등에서 본격화되고 있다. 30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올해초 부산신항과 목포신외항 공사를 시작한데 이어 광양항, 인천북항, 마산항, 목포신외항, 울산신항, 포항 영일만신항 등 6개항 26선석 개발을 위한 사업비 1조원 규모 민자유치 사업도 본궤도에 올랐다. 지난 27일 실시한 광양항 2단계(5만톤 3선석 및 2만톤 4선석, 4,305억원) 건설을 위한 운영업체 입찰에는 홍콩 허치슨포트홀딩스(HPH)사와 국내 한진해운, 현대상선 3개사의 컨소시엄이 단독응찰, 이변이 없는 한 운영업체로 선정될 전망이다. 이번 입찰에는 당초 HPH와 덴마크의 머스크씨랜드, 호주 P&O포츠 등 3개 외국업체를 중심으로 치열한 3파전이 예상됐으나 머스크씨랜드와 P&O포츠가 HPH의 컨소시엄에 견줄만한 국내 업체와의 연대에 실패했다고 해양부는 설명했다. 인천북항 고철부두 민자사업(5만톤 3선석, 1,383억원)도 인천제철, 동국제강 등과의 협상이 다음달말 타결될 예정이며 마산항 1-1단계 다목적부두의 개발사업(2만~3만톤 5선석, 2,200억원)은 현대산업개발을 주축으로 한 마산컨테너터미널㈜이 지난달말 사업계획서를 제출, 우선협상자로 지정됐다. 또 처음으로 민간제안 사업으로 진행중인 목포신외항 1-2단계 사업(3만톤 1선석, 410억원)은 다음달 2일 사업계획서 접수를 마감할 예정이다. 이밖에 지난해말 우선협상업체의 과도한 재정지원 요구로 협상이 결렬돼 기본계획을 변경 고시한 포항 영일만신항 1-1단계 사업(2만톤 4선석, 2,300억원)에는 포스코개발 등이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윤종열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