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치인·은행장 소환 “급진전”/한보·현철씨 비리의혹 검찰 수사

◎박태중씨 100억대 자금 뿌리캐기에 총력한보대출 및 김현철씨 비리의혹사건에 대한 검찰의 수사가 이번주 본궤도에 진입한다. 검찰은 한보특위 국정조사의 짐을 벗게 됨에 따라 홀가분한 입장에서 수사력을 재정비, 전방위 수사에 나서기로 했다. 특히 검찰이 「정태수 리스트」의 실체를 공식 확인함에 따라 정치권과 관계 금융권에 대한 조사가 급진전될 것으로 보인다. ◇정계수사=정태수 리스트에 올라있는 인사는 20∼50명선이나 받은 돈의 액수나 성격으로 보아 혐의선상에 가까운 정치인은 6∼7명이다. 검찰은 1차 수사때 정태수씨와 김종국 한보재정본부장의 진술을 통해 정씨가 3천만∼5천만원씩의 선거자금을 제공했다는 정치인 6∼7명의 명단을 확보했으나 이들을 소환하지 않고 수사를 중단했었다. 이들 인사 중에는 여권 대선주자 1명을 비롯, 민주계 실세 1∼2명, 야권 핵심 1∼2명이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정치권에 엄청난 파장이 예고되고 있다. ◇김현철씨 비리의혹수사=현철씨 수사는 박씨의 재산형성과정 의혹과 2천억원 리베이트 수수설 등 두 방향에서 출발했으나 지금까지 현철씨 비리와 관련된 특별한 단서를 찾지 못하고 있다. 검찰은 현철씨와의 고리로 추정되는 박씨의 재산형성 과정을 아직 구체적으로 밝혀내지 못했으며 파라오 인수 및 매각과정, 에메랄드호텔 인수시도 등의 의혹은 이미 내사를 종결했다. 검찰은 일단 박씨와 주변인물에 대한 계좌 추적을 통해 현철씨와의 관련여부를 캐는데 주력하고 있다. 검찰은 박씨 주변인물중 (주)심우 이사로 자금관리를 맡았던 백창현씨(37)등 측근들을 소환, 박씨가 지난 92년 대선이후 운용해온 1백억원대의 자금 출처를 캘 방침이다. ◇관계 수사=관계인사에 대한 수사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한보특위 국정조사에서 89년 공유수면매립허가부터 93년 외화대출승인, 95년 코렉스설비도입 승인 등 당진제철소의 각종 인·허가 과정에서 관련 공무원에게 한보측이 로비한 사실이 일부 드러난데다 검찰이 한보철강 인·허가 과정에 대한 감사를 감사원에 요청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한이헌·이석채 전 청와대 경제수석이 시중 은행장들에 대출 외압을 가한 사실이 확인된 상태여서 이들에 대한 소환 조사도 불가피하다. ◇금융권 수사=검찰은 그동안 5개 채권은행 대출관계 임직원과 한보철강 경리관계자 등 60여명을 조사함으로써 기초수사를 마무리했다. 이번 주부터는 전·현직 은행장들의 소환 조사가 시작되는 등 본격적인 사법처리 수순을 밟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일단 1차 수사에서 면죄부를 받았던 이형구·김시형 산업은행총재와 장명선 외환은행장이 1차 소환 대상자다.<성종수>

관련기사



성종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