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300만평 규모 산업단지 대구시 2012년까지 조성

경제규모 비해 용지 부족 <br> 낙동강 오염 등 둘러싸고 부산·경남과 갈등재연 우려


대구시가 부족한 산업용지난 해소를 위해 오는 2012년까지 300만평 규모의 대규모 산업단지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이 가운데는 지난 90년대 후반 부산ㆍ경남지역의 강력한 반대로 무산됐던 위천국가산업단지 예정부지 일부를 지방산업단지로 변경해 조성하는 방안도 포함돼 있어 지역갈등 재연도 우려되고 있다. 10일 대구시에 따르면 관내 산업용지는 627만평으로, 경제규모에 비해 턱없이 부족(전국의 1.8%)해 제조업의 역외이전과 지가 상승 등이 발생, 산업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있다. 더구나 위천산업단지 무산 등으로 지난 1996년에서 2004년 사이 산업용지 공급이 전혀 이뤄지지 않아 용지난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우선 현재 80% 안팎의 공정을 보이고 있는 달성 2차단지(82만평), 옛 삼성상용차 부지(19만평), 성서 4차단지(13만평)를 차질없이 조성키로 했다. 이와 함께 세천산업단지 39만평을 비롯해 봉무단지(36만평), 달성 2차 확장(42만평), 달성 3차단지(50만평) 등을 신규 조성하는 등 2012년까지 총 300만평에 가까운 산업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이중 지원시설용지 등을 뺀 순수 산업용지는 150만평 안팎. 여기에 ‘동남권 연구개발중심거점 육성’을 위해 2015년 완료를 목표로 추진중인 219만평 규모의 테크노폴리스(첨단산업단지 43만평)까지 조성되면 산업용지는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달성군 다사읍 세천리 일원에 추진중인 세천산업단지는 현재 사전환경성 검토 협의를 완료했으며, 연말 산업단지 지정ㆍ고시, 내년 기본설계 및 토지보상 등을 거쳐 2010년 12월 준공 예정이다. 특히 시는 달성군 논공읍 상리 일원 50만평에 달성 3차 단지를 조성해 첨단업종을 유치키로 하고, 올해 추경에서 타당성조사 용역비 2억원을 확보했다. 그러나 이곳은 과거 위천국가산업단지 예정지 210만평 중 일부지역이라 공단 조성이 본격화되면 낙동강 오염 등을 둘러싸고 다시 부산ㆍ경남지역의 반대에 부딪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대구시 신경섭 경제정책과장은 “달성 3차단지 예정부지에는 현재 40여개 개별공장이 난립해 있다”며 “산업단지 조성을 통해 계획적인 개발이 이뤄지면 난개발 방지는 물론 오히려 낙동강 오염방지에도 더 큰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