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지방 분양사업에 전주 몰린다

리스크 크지만 잘되면 최고 2~3배 이익

돈 빌려주는 단순 투자 탈피

시행사업 참여 '큰손' 늘어 명동 일대엔 브로커도 활개

지방 분양시장 호황 지속에 시행사 용지 확보전도 치열

최근 지방 아파트 분양시장이 활황세를 보이자 시행사업에 직·간접적으로 뛰어드는 개인 자산가들도 늘고 있다. 아파트 공사가 한창인 대구신서혁신도시 내 공동주택용지 전경. /사진제공=LH

지난해 지방의 한 아파트 사업에 투자자로 참여한 A(46)씨는 최근 입주를 앞두고 시행사와 분양 수익금 정산을 했다. 그가 투자한 금액은 8억여원. 잔금이 전부 들어와 봐야 확실하겠지만 적어도 투자금의 2~3배의 이익을 기대할 수 있을 정도였다. A씨는 "위험은 있었지만 당시 시장 분위기가 좋은 상황이어서 손해 보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했다"고 말했다.

지방 아파트 분양시장의 호황이 지속되면서 개인들의 사업 투자가 늘고 있다. 한 시행사 관계자는 "최근 지방 분양시장의 분위기는 활황기였던 2000년대 중반을 연상케 한다"며 "특히 지방은 땅만 확보하면 분양은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시행사로 몰리는 개인 투자 움직임도 활발하다"고 말했다.


◇전주(錢主)들 '투자할 사업 어디 없나요'=17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지방 분양시장이 과열 양상을 보이면서 기존 건설업체는 물론 개인들까지 시행사업에 직·간접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개인들의 경우 지금까지는 시행사에 돈을 빌려주고 이자 등을 챙겨가는 단순한 전주(錢主) 역할이 전부였지만 최근에는 직접 공동투자해 시행사와 분양수익을 나누는 사례도 늘고 있다는 것이다.

즉 기존에는 시행사에 돈을 빌려준 뒤 사업이 진행되면 중간에 원금과 이자를 받아가는 대여 방식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투자 형태로 자금을 지원하고 향후 분양 수익을 나눠 갖는 방식까지 나타나는 추세다. B 시행사 관계자는 "사실 개인이 이자 수익이 아닌 분양 완료시까지 투자자 입장에서 수익을 나누는 것은 자금 회수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위험이 더 크다"며 "그럼에도 지방에서 분양이 대부분 성공하면서 투자 차원의 접근이 활기를 띠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시행 사업에 대한 개인 투자자가 늘면서 이들을 시행사와 연결해주고 수수료를 챙기는 '브로커'들의 활동도 활발하다. 서울의 경우 명동과 지하철 2호선 교대역 등을 중심으로 수십 곳에 달한다는 후문이다. 또 다른 시행사 한 관계자는 "최근에도 자금을 빌려줄 수 있다는 브로커의 제안을 받기도 했지만 이자가 너무 높고 사업 지분도 나누자는 조건 때문에 거절했다"며 "예전에도 개인 전주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최근 더 늘어나는 추세"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리스크 큰 만큼 높게는 2~3배 이익=이처럼 개인의 지방 아파트 사업 투자가 느는 것은 저금리 기조가 계속되면서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대체 투자처로 주목받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일반 금융상품의 경우 높아야 연 4~5%의 수익에 불과한데다 오피스텔 등 수익형 부동산 상품 역시 공급 과잉으로 수익률 하락을 겪고 있는 추세다. 반면 시행사업에 투자할 경우 높게는 2~3배에 달하는 높은 수익을 올리는 사례도 많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실제로 개인 투자자들은 3개월에 10% 이상 이자를 받는 조건으로 시행사에 돈을 빌려주고 있으며 여기에 '리스크'가 큰 사업의 경우 사업 지분 일부를 받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중의 부동자금이 지방 아파트 사업으로 몰리면서 땅을 확보하기 위한 시행 업계의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중견 건설사는 물론 상대적으로 직접 사업에 관심이 적었던 대형 건설사까지 가세하면서 인기가 높은 지방 택지지구 내 공동주택용지 확보는 하늘의 별 따기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따르면 올해 공급한 29개 공동주택용지 중 순수 시행사가 확보한 땅은 7개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시행사 관계자는 "지방의 경우 자금은 얼마든지 확보가 가능하지만 정작 땅을 구하지 못해 사업을 하지 못하는 업체들이 많다"며 "치열한 경쟁 탓에 과거 분양 침체기와 비교해 별로 나아진 게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