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올 평균 임금인상률 5.2%

작년보다 0.6%P 올라

올해 임금협상을 마무리한 사업장의 평균 임금인상률이 지난해보다 0.6%포인트 오른 5.2%로 집계됐다. 고용노동부는 100인 이상 사업장 8,458곳 중 지난 7월 말까지 임금협상을 타결한 3,636곳의 협약 임금(정액급여+고정상여금)인상률이 5.2%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부문별로는 민간에서 3,556곳이 인상률 5.2%로 타결이 이뤄졌고 공공은 80곳이 타결됐으며 인상률은 4.1%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임금교섭 타결률은 43.0%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22.5%보다 20.5%포인트 높았다. 업종별 인상률은 출판·영상·방송통신·정보서비스업과 숙박·음식업이 각각 6.3%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였고 제조업도 5.8%에 달했다. 사업장 규모로는 5,000인 이상 사업장 5.7%, 1,000~5,000인 미만 5.3%, 300∼500인 미만 5.2% 순이었다. 고용부는 임금인상률이 높은 데 대해 상반기 물가 상승치가 협상 과정에서 고려됐고 특히 공공 부문 요금의 높은 인상률이 민간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실제로 올해 1~6월 중 우리나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 동기대비)은 평균 4.3%로 32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세 번째로 높았다. 교섭 타결률이 높은 것은 올해 7월 복수노조 시행에 따라 조기에 협상을 마치려는 노사 간 공감대가 형성된 것이 주된 이유로 꼽힌다. 사측은 신생 노조와의 협상에 부담을 가질 수밖에 없고 기존 노조는 주도권을 확보해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고용부 관계자는 "올 초에는 복수노조 제도가 임금협상의 속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 전망이 엇갈렸다"며 "그러나 결과적으로는 일선 사업장 노사가 새로운 상황에서 갈등보다는 화합을 선호해 복수노조 제도가 임협 타결을 앞당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