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서울대, 30대 학자 이례적 교수 특채

우수인재 선점 위해 특채규정도 신설

30대 물리학자가 이례적으로 서울대 교수로 특별채용됐다. 서울대는 6일 인사위원회를 열어 생물물리학(Biophysics) 전공인 홍성철(36) 박사를 올 2학기부터 자연과학대학 물리학부 조교수로 특별 채용키로 했다고 7일 밝혔다. 서울대가 공모 절차 없이 교수를 특채한 것은 2003년 세계적 바이올리니스트 김영욱(59)씨를 음대 교수로 채용한 이후 이번이 두 번째다. 홍 박사는 1994년 서울대 물리학과를 졸업한 뒤 이 학교 대학원에서 석ㆍ박사학위를 받은 `토종박사'로 이후 미국으로 건너 가 박사후(포스닥) 과정부터 새로운영역인 생물물리학 분야를 공부했다. 홍 박사는 미국 일리노이대와 하워드 휴즈 메디컬 인스티튜트에서 생물물리학영역 중 하나인 생체분자(biomolecule) 분야의 연구에 매진해 왔다. 생물물리학은 물리학을 생물학에 확대 적용해 생명현상의 본질을 물리적 관점에서 연구하는 새로운 학문영역으로 최근 바이오 산업의 급부상과 함께 각광받고 있다. 서울대는 홍 박사를 채용하기 위해 단과대 특별채용 규정까지 만들었다. 국제적으로 채용 경쟁이 치열한 신생분야를 전공하며 해당 분야에서 학문적 우월성을 인정받은 젊은 학자에게도 특채 규정을 적용할 수 있도록 정비한 것이다. 젊은 인재들은 국내외 명문대에서 `러브콜'을 많이 받기 때문에 원칙대로 공채를 고집해 시간을 끌다가 눈 앞에서 우수인재를 놓칠 수 있다는 위기의식 때문이었다. 실제로 "굳이 까다로운 공모 절차를 거치면서까지 서울대에 올 생각이 없다"며다른 학교로 발길을 돌리는 학자들이 적지 않다는 게 학교 측 설명이다. 자연대는 `함량미달'인 인사를 밀실에서 낙점해 놓고 채용할 수도 있지 않느냐는 우려를 불식하기 위해 공채보다 더 까다로운 자격 요건을 적용해 홍 박사를 채용했다고 밝혔다. 오세정 자연대 학장은 "새로운 분야에서 공채를 고집하다 우수인재를 놓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더 유연한 채용제도가 필요하다"며 "다른 단과대도 자연대와 같은특채규정 도입을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