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전문계고 학생 7명 KAIST 합격

입학사정관 전형 총 150명 선발…67개교 첫 합격자 배출

경남 마산의 한일전산여고 3학년인 박지향(18)양은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관심을 갖게 된 초등학교 4학년 때부터 보안전문가를 꿈꿨다. 어려운 가정형편 때문에 전문계고에 진학한 박양은 꿈을 이루기 위해 워드1~3급을 비롯해 정보처리기능사, 인터넷정보검색사, 정보기기운영기능사 등 11개의 IT관련 자격증을 땄다. 정보올림피아드에도 출전해 수차례 입상했다.

중학교 내신 성적이 상위 20~30%였던 박양은 고교 진학 후에는 학업에 매진해 줄곧 상위 1~2%를 유지했다. 교내 봉사동아리인 ‘한울타리’ 회원으로 재활원과 장애인 보호 작업시설에서 봉사활동도 꾸준히 했다.

최근 마무리된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입학사정관 전형에 합격해 보안전문가의 꿈을 이어가게 된 박양은 “아직 얼떨떨하다”면서 “학교와 사회에서 받은 혜택을 다시 돌려주고 싶다”고 말했다.


KAIST는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실시된 학사 1차 모집 학교장 추천전형을 통해 일반계고(전문계고 포함)에 재학 중인 150명을 선발했다고 24일 밝혔다.

관련기사



총 639개 고교에서 1명씩 추천된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이번 전형에서 67개교가 첫 KAIST 합격자를 배출했으며 특히 전문계고에서 7명이나 합격자를 배출했다. 합격자를 낸 곳은 박양이 다니고 있는 한일전산여자고를 비롯해 하동고(경남), 양서ㆍ제일ㆍ양곡ㆍ중앙ㆍ양동고(이상 경기) 등이다. 지난해 전문계고 출신 합격자는 1명이었다.

지역별로는 5대 광역시(서울ㆍ부산ㆍ대구ㆍ대전ㆍ광주) 출신이 76명(50.7%), 기타 지역 학생이 76명(49.3%)이었다. 농산어촌 학생과 저소득층 학생이 각 15명씩 포함됐다.

KAIST는 학교장 추천 전형에서 전국 일반계고교에서 각 1명씩 추천을 받아 서류평가와 방문면접평가를 통해 1차로 300명을 추린 뒤 2차 개인면접과 그룹토론 형식의 심층면접평가를 통해 최종 선발했다.

오광주 KAIST 입학정책팀장은 “합격자들은 학교 내신이나 전국 모의고사 성적 등 학업능력이 우수한 학생이 대부분이지만 어려운 여건에서 역경을 이겨내고 사교육을 받지 않고도 스스로의 힘으로 합격한 학생도 많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