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급증하는 신용융자 문제 없나

코스피지수가 2,100을 넘어서는 등 주식시장 활황세가 지속되자 빚을 내 주식투자를 하는 투자자들도 크게 늘고 있다. 자기자금과 여윳돈이 아닌 빚으로 주식을 사 이득을 취하려는 심리가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빚을 내 주식투자를 하는 경우 돌발사태 등으로 주식시장이 곤두박질칠 경우 엄청난 손실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경계해야 한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투자하는 이른바 신용융자 잔액은 지난 9일 현재 6조8,664억원으로 올 들어 9,000억원 이상 늘어났다. 이와 함께 보유주식을 담보로 자금을 빌려 쓰는 예탁증권담보융자도 7조원으로 올 들어 7,000억원 남짓 증가했다. 빚에 의한 주식투자 규모가 13조원에 달하고 있는 셈이다. 빚에 의한 투자가 크게 늘고 있는 것은 주식시장이 활황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증시는 올 들어 기업들의 실적호전과 미국의 경기회복, 달러캐리 트레이드 및 중국으로부터 자금유입이 크게 늘어나면서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더구나 초저금리에다 부동산시장이 침체에 빠져 있는 점도 주식시장 활황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주식시장에 대해서는 낙관적 전망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그렇더라도 과도하게 빚을 내 주식투자에 나서는 것은 지양돼야 한다. 빚으로 주식을 사는 경우 단기투자에 매달릴 수밖에 없고 그만큼 수익률도 낮을 수밖에 없다. 특히 주가가 급락하거나 제때 융자금을 갚지 못할 경우에는 증권사가 강제적으로 반대매매에 나서 손실폭이 예상 외로 커질 수 있다. 실제로 주가등락이 심한 지난달 말 이후 하루 100억원 이상의 반대매매가 이뤄져 투자자들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 빚에 의한 주식투자는 그만큼 낭패를 당할 가능성이 큰 것이다. 대내외 경제여건도 불확실성이 적지 않다. 특히 금리상승 기조와 가계대출 부실화 우려, 부동산경기 침체 등 구조적인 불안요인이 상존해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당국도 신용융자에 의한 주식투자가 과도하게 늘어나지 않도록 필요할 경우 융자비율 축소 등의 조치에 나서야 한다. 특히 증권사들이 고객에게 투자위험을 알리도록 하는 등 경고장치가 작동되도록 시장 모니터링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