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파이낸셜 포커스] 가닥잡힌 우리금융 민영화 밑그림

떠오르는 금융지주 역할론… 신한-광주, 하나-경남은행 인수거론<br>지역정서·정치적 문제 고려 시중은행에 매각 방안 검토<br>금융사·산업자본·연기금 뭉친 그랜드 컨소시엄에 매각 가능성 해외 자본에 파는 것은 배제


정부가 지방은행 분리매각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는 것은 지금까지의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이 모두 실패했기 때문이다. 일괄매각은 지난 2011년과 2012년 해봤지만 시가총액만 9조5,000억원이 넘는 우리금융을 한번에 살 수 있는 곳이 마땅치 않았다. 금융지주가 인수하는 것은 지분을 95% 이상 가져와야 하는 탓에 사실상 불가능하다.

◇말 많은 지방은행, 시중은행 인수론 부상=정부 고위관계자는 26일 "(지방은행을 분리매각하는 것이) 파는 사람 입장에서는 용이한 방안으로 볼 수 있지만 지역적ㆍ정치적 문제를 감안하면 제일 어려운 방안이 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당국이 걱정하는 것은 지역정서다. 2010년 병행(분리ㆍ일괄)매각 추진 시에도 정치적인 문제와 지방색이 발목을 잡았다. 경남은행에는 대구와 부산은행이 관심이 많은데 다른 지역 은행에는 절대로 경남은행을 넘길 수 없다는 게 경남 지역 민심이다. 광주은행도 마찬가지다. 전북은행이 사는 것에도 반대다.

이 때문에 당국과 금융권 안팎에서는 경남은행은 하나금융에, 광주은행은 신한금융에 넘기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시중은행 쪽에서 가져가면 반발감이 덜할 것 아니냐는 계산이다. 금융권 고위관계자는 "우리금융 분리매각을 추진하면서 뒷말이 나오지 않게 지방은행을 팔기 위해서는 시중은행에 넘기는 방안을 고려해볼 만하다"며 "우리은행 등 본체 인수에 관심이 없거나 금전적 여력이 없는 는 금융지주사에 지방은행을 넘기면 될 것"이라고 했다.

경남과 광주 지역 상공회의소를 중심으로 자체 인수방안도 나오지만 산업자본의 은행 소유지분 제한을 감안하면 쉽지 않다. 정부는 산업자본의 금융지주회사와 은행지분 한도를 낮추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현행 9%인 소유한도는 4%로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지역 자체 인수는 더 힘들어진다는 게 전문가들의 예상이다.

관심 사안 가운데 하나인 우리투자증권의 경우 분리매각 시 우리은행을 포함한 본체의 매력이 떨어진다는 점에서 최종 판단을 내리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가능한 것부터 판다'는 원칙이 설 경우 지방은행에 이어 우투증권까지 우선 분리해서 팔 가능성도 남아 있다.


◇'그랜드 컨소시엄' 다시 등장하나=금융권에서는 당국이 우리금융을 금융사와 산업자본ㆍ연기금 등이 뭉친 컨소시엄에 팔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당장 공자위는 KB와의 합병은 최우선 순위에서 사실상 빼고 있다. 정부에서는 주식 교환 시 세금문제도 고민하고 있다.

관련기사



업계에서는 특정 금융지주가 산업자본과 국민연금 등과 함께 사모펀드(PEF)를 구성해 우리금융을 인수하는 게 합리적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여러 금융사들이 함께 들어가는 방안도 가능하다. 분리매각 대상인 지방은행 인수 대상에 신한과 하나가 거론되는 것도 큰 틀에서 보면 금융지주사들이 연합해 우리금융을 가져가는 형태다. 금융위의 고위관계자는 "단독 경영권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산업자본 등은 큰 관심이 없을 것"이라며 "금융권 인수합병(M&A) 사례를 보면 여러 금융사들이 연합해 우리금융을 인수하고 본인들이 필요한 계열사들을 찢어 나눠 갖는 게 가장 현실적일 수도 있다"고 했다. 공자위 관계자도 "(토론회에서) 국민연금을 포함해 PEF에 대한 논의도 했다"고 설명했다.

◇해외매각은 사실상 배제=우리금융을 해외자본에 파는 방안은 사실상 배제됐다. 국가경제와 산업지원에 매우 중요한 은행을 해외에 넘길 수는 없기 때문이다. 외환위기 이후 론스타에 외환은행을 팔 수밖에 없었지만 그때와 같은 위기상황이 아니라면 은행을 해외자본에 팔 이유가 전혀 없다.

이와 관련, 신제윤 금융위원장이 "해외자본도 우리금융 인수가 가능하다"고 한 것은 정치적인 발언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자격요건에 문제가 없는데 국적에 따라 인수작업을 막는 것은 통상 마찰까지 불러올 수 있기 때문이다. 공자위의 한 관계자는 "론스타의 외환은행 매각 이후 여러 가지 제한이 많아져 해외에 매각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다만 외국자본이 우리금융 인수를 위한 PEF에 일부 투자를 하는 것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자위는 한두 차례 더 회의를 열고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을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25일 토론으로 큰 줄기는 잡았지만 세부적으로 더 정해야 할 사안들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공자위 고위관계자는 "25일 난상토론을 벌였지만 추가적으로 논의해야 할 것들이 있다"고 전했다.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