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윤리경영 도입후 기업분위기 좋아졌다"

윤리경영이 기업 이미지 뿐만 아니라 내부 분위기나 경영실적 등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21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중소제조업체 300개사(응답업체195개사)를 대상으로 '중소기업 윤리경영 추진실태'를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41.0%가 윤리경영을 도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대기업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윤리경영이 국내 중소기업에도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윤리경영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전체의 90.8%가 "필요하다"고 답변해 대다수의 중소기업이 윤리경영에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리경영을 도입한 이후 기업에 나타난 가장 큰 변화에 대해서는 37.5%가 "내부분위기가 좋아졌다"고 답변했으며, "기업이미지가 좋아졌다" 또는 "경영실적이 향상됐다"는 응답도 각각 27.5%와 21.3%로 나타나 전체의 86.3%가 윤리경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별다른 변화없다"는 답변은 13.7%에 불과했다. 윤리경영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완수(40.1%)'를 꼽은기업이 가장 많았으며, '글로벌 경쟁력 강화(23.2%)', '경영실적 향상(22.6%)', '이미지 제고(10.1%)'의 순으로 답변했다. 윤리경영 추진형태로는 77.5%의 기업이 윤리강령을 제정해 운용하고 있으며, 윤리경영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기업도 82.5%에 달했다. 내부고발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기업은 36.2%였으며, 전담부서를 설치한 기업도26.2%로 조사됐다. 윤리경영 추진시 가장 역점을 두고 있는 분야로는 과반수 이상의 기업(51.3%)이'내부규정 준수'라고 답변했으며 '납품공급업자와의 관계(21.3%)', '종업원 복지(12. 5%)', '소비자와의 관계(6.2%)', '사회봉사(5.0%)'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선진국의 일류기업(기준=100)과 비교한 국내기업의 윤리경영 수준에 대해서는대기업은 평균 65.1점, 중소기업은 55.2점으로 평가해 국내 중소기업들은 선진국 기업과의 윤리경영 수준에 상당한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현행 국내기업의 실정상 윤리경영이 가장 필요한 부문으로는 '회계(24.6%)'와 '하도급(23.6%)', '노사(22.1%)' 분야가 비슷한 비율로 꼽혔으며, '환경(6.7%)'과 '소비자(4.5%)' 분야를 지적한 응답은 다소 낮게 나타났다. 중소기업들은 윤리기준을 벗어나지 않는 건당 접대비 수준에 대해서는 '10만원미만'이라는 응답이 37.9%로 가장 많았으며, 30.8%는 '3만-5만원 미만'이라고 답변했다. 윤리경영을 도입하지 않고 있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그 이유를 물은 결과 과반수이상의 기업(57.4%)이 "예산, 인력 등 경제적 여유가 없기 때문"이라고 응답해 윤리경영이 중소기업들에게 비용측면에서 부담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리경영 추진방법을 잘 몰라서"라는 답변은 25.2%로 조사됐으며, "필요성을못 느낀다"는 응답은 17.4%로 나타났다. 향후 윤리경영 도입 계획에 대해서는 45.2%의 기업이 도입할 의향이 있다고 답변한 반면 54.8%는 도입할 계획이 없다고 응답했다. 윤리경영 우수기업에 대해 정부가 지원할 경우 가장 필요한 사항으로는 '세제혜택'이 67.2%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다음으로는 '신용등급 우대(12.8%)' ,'각종 조사면제(8.7%)', '정부발주시 우대(8.2%)'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에 윤리경영이 확산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사항으로는 과반수에 가까운기업이 'CEO의 의지(48.2%)'라고 답변했으며, '임직원의 자세(31.8%)', '사회분위기(13.3%)' , '정부의 지원(6.7%)' 순으로 응답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