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강성노조시대 끝났다"

이용득 한국노총 위원장 "노사문화가 투자 걸림돌 돼선 안돼" <br>"노동운동 변화 총대 메겠다"

정세균(가운데) 산업자원부 장관과 이용득(왼쪽) 한국노총 위원장, 태미 오버비 암참 대표가 월가 투자가들에게 한국에 대한 투자를 당부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뉴욕=연합뉴스

“세계가 변화하고 있는데 강성 일변도의 노동운동만 고집할 수는 없습니다. 내가 총대를 메겠습니다.” 이용득 한국노총 위원장은 28일(현지시간) 뉴욕 맨해튼 팰리스호텔에서 열린 한국투자환경설명회(IR)에서 기자들과 만나 “온 세상이 변하고 있는데 한국의 노동운동만 눈과 귀를 가리고 시대흐름을 거스를 수는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국의 노동단체 대표로는 첫 해외 경제설명회에 참석한 이 위원장은 “CNN, 파이낸셜타임스(FT), 뉴욕타임스(NYT) 등 국내외 언론에서 한국 노동문제를 너무 비관적으로 부각시키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월가(街) 투자기관 관계자들과 만나면서 ‘정말 심각한 문제’라는 것을 알았다”며 “월가 투자기관들이 한국을 모든 면에서 중국보다 투자하기에 유리하다고 판단하고 있는데 유독 비뚤어진 노사문화에만 낙제점을 주는 것을 보고 놀랐다”고 설명했다. 이 위원장은 투자가들에게 “노사관계 때문에 한국 투자를 주저한다면 당장 그런 생각을 떨쳐버려야 한다”면서 “한국에 투자한 뒤 노사문제가 발생하면 한국노총이 중재와 조정에 나설 것”이라고 설득했다. 또 “강경 일변도의 한국 노동운동이 변화의 시점에 와 있다”며 “(이번 설명회가) 투자가들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었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이 위원장은 이어 “외국의 건전한 자본을 국내에 유치하고 이를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은 정부와 기업만의 책임이 아니라 노동조합도 당연히 해야 할 임무”라며 “한국 노사문화가 외국 기업의 한국 진출에 걸림돌이 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한노총이 보이고 있는 행보에 대한 민노총의 반응을 묻는 질문에는 “방미 하루 전 조준호 민노총 위원장과 만나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다”며 “그쪽은 내부상황 때문에 우리처럼 하기 어려운 구조가 아니겠냐”고 반문했다. 한편 이날 산업자원부ㆍ한국노총ㆍ주한미국상공회의소(AMCHAMㆍ암참)가 주관한 민관합동 IR에는 씨티그룹과 푸르덴셜ㆍAIGㆍ화이자ㆍ3Mㆍ노바티스 등의 해외 투자가 200여명이 참여했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