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강남권 재건축발 전세난, 심하지 않을 것"

■ 주택산업硏 보고서

하반기 이주수요 2620가구 예상… 주변 입주물량으로 흡수 가능해

내년부턴 이주 몰려 선제대응을

하반기 서울 강남권 재건축 이주에 따른 전세난이 당초 우려만큼 크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다만 내년 이후에는 미뤄졌던 대단지 이주가 잇따를 것으로 보여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관측됐다.

주택산업연구원은 9일 발표한 '서울시 재건축 이주수요 추정과 정부의 대응 방안' 보고서에서 강남·서초·송파·강동구 등 강남권 4개 구의 하반기 재건축 이주수요를 2,620가구로 추정했다. 상반기 이주물량 735가구와 합치면 올해 강남 4구의 이주물량은 3,607가구다. 이는 지난해 이주물량(2,251가구)보다는 60% 늘어난 것이지만 7,144가구에 달했던 지난 2012년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이다.

이 같은 이주물량은 당초 1만4,000가구가 넘을 것이라는 일부 민간업체들의 예측과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이다.


이에 대해 연구원 측은 "사업시행인가를 받은 단지라도 착공까지 2년 안팎이 걸리는 점을 감안하면 당장 올해 대규모 이주수요는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연구원 측은 특히 지난해보다 이주물량이 늘어나기는 했지만 주변 입주물량을 감안하면 전세난은 심각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강남 4구와 성남·하남·용인 등 수도권 주변부의 신규 입주물량이 아파트 6,624가구, 아파트 외 주택 7,465가구에 달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전월세 수요를 흡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원은 다만 사업인가를 받았거나 인가를 준비 중인 대단지가 많아 내년에는 8,114가구, 오는 2016년 이후에는 1만4,674가구의 이주수요가 발생하는 만큼 선제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태섭 주산연 연구위원은 "서울시는 강남 4구와 인근 지역의 신규 입주물량과 입주 시점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주민에게 제공해 이주 분산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 역시 재건축 이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수급불안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연구원의 이 같은 분석은 시장 상황에 대한 인식 부족에 비롯됐다는 것이 업계의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강남권 전세수요를 인근 위성도시가 흡수할 수 있다는 논리 자체가 잘못됐다"며 "특히 기존 중형 아파트로 구성된 중층 재건축 이주는 강남권 전세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