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창조경제의 초석] 부산대 나노그리드소재 융합연구단

희소금속 고효율 회수로 재활용율 높여

하창식 교수

글로벌 산업과 경제의 발달로 자원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져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 희소금속을 선택적으로 높은 효율로 회수하는 신개념 나노그리드 소재와 시스템을 연구해 온 부산대 고분자공학과 하창식(사진) 교수가 이끄는 나노그리드 소재 융합연구단(www.nano-grid.co.kr)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이 융합연구단은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미래유망융합기술 파이오니어 사업의 일환으로 2010년 7월 선정됐다. 오는 2016년 2월까지 나노기술(NT)과 환경기술(ET)의 융합 기술적 접근방식을 사용해 핵심원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연세대(연구책임자 : 김중현 교수), 한국화학연구원(연구책임자 : 이우황 박사), 충남대(연구책임자 : 황택성 교수)도 함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관련기사



현재 연구단에서는 해수, 지상, 재활용 자원으로부터 유가금속 (코발트·인듐·리튬 등의 희소금속)을 고선택, 고효율로 회수하는 신개념 소재와 시스템을 연구 개발하고 있다. 또 친환경적 회수 방법인 유동-연속 탈이온화 (Flow Through-Continuous Deionization, FT-CDI)시스템과 연계해 고선택, 고효율 회수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연구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오고 있다.

하 교수는 “현재 리튬 회수에 대해서는 국내외적으로 어느 정도 기술이 개발돼 왔으나, 회수에 반환경적인 방법을 사용해야 하는 점이 끊임없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며 “ 그러나 리튬을 제외한 기타 특정 희소 금속이온의 선택적 분리에 대한 기술은 개발이 전혀 돼있지 않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또 “특정 금속이온의 선택적 분리를 위해서는 나노 소재 기술의 개발이 반드시 필요하며, 고도 분리 제어기술개발, 특히 친환경적인 공정개발이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연구단은 최근 인공 바닷물에서 코발트를 96% 이상 선택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고효율의 나노다공성 소재와 산업폐수에서 인듐을 거의 완벽하게 회수할 수 있는 나노다공성 소재 등을 개발했다. 또 이들을 고효율로 연속 회수할 수 있는 친환경적 공정인 FT-CDI 장치도 상용화했다. 연구단은 연구 성과들을 국내외 특허출원 및 등록을 통해 원천 기술을 확립해 나가는 한편 위탁연구기관인 ㈜시온텍과 함께 산업화를 모색해 나갈 예정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