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모토로라 조립 가능 스마트폰 개발 착수

취향따라 부품 선택할 수 있어



모토로라가 취향에 따라 스마트폰의 부품을 선택해 조립할 수 있는 맞춤형 스마트폰을 연내에 선보인다. 천하무적의 구글이지만, 상용화에 이르기까지는 난관이 많아 기대만큼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모토로라 모바일은 28일(현지시각) 개방형 스마트폰 출시를 목표로 '아라(사진) 프로젝트'를 1년 전부터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네덜란드의 개발자 데이브 한킨스와 공동으로 진행하는 이번 프로젝트는 조립형 PC처럼 스마트폰의 부품을 개인 취향에 따라 골라 조립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스마트폰의 핵심 부품인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메모리, 디스플레이, 외관 케이스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 새로운 틈새시장을 개척하겠다는 전략인 셈이다.

관련기사



모토로라는 연내에 시제품을 선보인 뒤 내년에 정식 제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그러나 맞춤형 스마트폰이 시장에 안착하려면 각 부품별 호환성은 물론 안전성도 보장돼야 하기 때문에 낙관적인 전망은 이르다는 지적이다. 이용자가 임의로 부품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예기치 못한 문제도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는 얘기다.

모토로라는 이미 지난 8월 선보인 스마트폰 신제품 '모토X'에서 맞춤형 서비스를 도입했다. 모토X는 제품 외관과 버튼 등 모두 500여가지의 조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 신선하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정작 시장에서는 외면당했다. 출시 당시만 해도 미국 AT&T에서 2년 약정에 199달러로 책정됐던 판매가도 최근 99달러로 떨어졌다.

배은준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맞춤형 스마트폰은 소프트웨어 혁명 하드웨어 혁명에 이은 '스마트폰 3.0' 시대의 전략으로 볼 수 있다"며 "하지만 맞춤형으로 제품을 판매하면 수익성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지속 가능한 사업모델로 자리잡을지는 의문"이라고 평가했다.


이지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