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소통 리더십’으로 주목 받는 박원순 서울시장

의견 경청하는 ‘소통’ 경쟁력으로 평가

도약 위해서는 지지층 확장 필요 지적도

박원순 서울시장은 6ㆍ4 지방선거에서 ‘유세차ㆍ세력동원ㆍ네거티브 없는 캠페인’ 등으로 기성 정치인과는 다른 참신한 면모를 보여줬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정치인으로서의 경쟁력을 새롭게 조명 받고 있다.

8일 정치권 및 박 시장의 선거캠프 관계자들에 따르면 박 시장의 경쟁력은 ‘소통 리더십’으로 요약된다. 한 선거캠프 관계자는 “박 시장은 선거운동 기간 동안 거리 곳곳을 다니며 만난 시민들의 의견을 경청하는 데 주력했다”며 “선거 전략을 수립하는 과정에서도 참모들과 치열한 토론을 통해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박 시장이 이번 선거에서 보여준 소통 행보가 ‘일방향식’ 소통으로 비판 받고 있는 현 정부의 모습과 대비되면서 대선 후보로서의 자질도 인정받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이러한 박 시장의 소통 리더십은 참여연대, 아름다운재단, 희망제작소 등 박 시장이 10년 이상 지속해온 시민단체 활동에 바탕을 둔 것으로 평가된다. 다양한 구성원들이 수평적인 관계에서 합의점을 찾아야 하는 시민단체 활동 특성상 토론과 설득을 중심으로 한 의사소통 방식이 박 시장에게 익숙하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박 시장은 지난 2011년 10ㆍ26 서울시장 재보선을 통해 당선된 이후 ‘시민이 시장’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시민과의 소통을 강조해왔다. 이번 선거에서도 당선 직후 소감으로 “서울은 시민이 4년 더 시장”이라고 밝혀 기존의 시정 철학을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강조했다.

앞으로 박 시장의 과제는 지지층의 외연 확장으로 꼽힌다. 현 지지층인 야권 성향의 젊은 세대 뿐만 아니라 보수적인 성향의 중장년층도 끌어안을 수 있어야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선거 기간 동안 박 시장을 향한 색깔론이 제기되고 보수단체 회원들이 선거캠프를 찾아 항의시위를 하는 등 여전히 박 시장에 대한 보수층의 반감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감안해 박 시장은 50대 베이비부머 세대를 위한 정책을 제시하는 등 중장년층 표심 잡기에 나선 바 있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지난 2년 8개월 동안 박 시장이 본인의 시정 철학을 구현하는 데 주력해 왔다면 앞으로는 확장된 비전과 정책을 통해 보다 더 넓은 계층과 집단을 포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