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삼성자동차 워크아웃 대상서 제외될 듯

李憲宰 금융감독위원장은 12일 오전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국금융연구원 주최 초청강연회에 참석한뒤 기자들과 만나 일각에서 삼성자동차의 워크아웃설이 떠돌고 있으나 이는 워크아웃 본래 취지에 맞지않는다고 밝혔다.李위원장은 5대 그룹 계열사의 워크아웃은 “생산제품의 경쟁력이 있어 미래 전망은 밝지만 부채가 과다하고 차입구조가 단기위주로 돼있어 재무상태가 나쁜 기업을 대출금 출자전환 등을 통해 부채비율을 낮춰 국제경쟁력을 갖춰주자는 취지”라고 전제한뒤 “ 삼성자동차가 과연 여기에 합당한 기업이냐”고 반문, 워크아웃에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그는 삼성자동차가 워크아웃 대상에 포함돼 금융기관의 출자전환이 일어난다면논란의 빌미가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5대 그룹 계열사중 워크아웃 기업의 경영권 문제와 관련 “은행의 출자전환이이뤄진다고 해도 경영이 잘 이뤄질 경우 경영권에 문제를 삼을 필요는 없으며 사외이사나 감사제도, 자금관리자에 대한 통제 등을 통해 감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나 “5대 그룹 계열사라 하더라도 워크아웃 기업의 주가가 올라가지않는 등 경영성과가 가시화되지않을 경우 경영권이 바뀔 수도 있다”고 말해 경우에따라서는 은행이 경영권을 박탈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李위원장은 이어 은행의 내부통제시스템 강화를 위해 감사제도와 보수체계 등이크게 개편될 것이라고 언급, 감사시스템과 보수체계에 대한 대대적인 손질을 예고했다. 그는 현재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감사기능을 스스로 개선하면 다행이지만그렇지않을 경우 감사위원회나 복수감사제 도입, 감사직군의 일반경영직군으로의 이동 금지 등 여러가지 통제장치를 고려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은행 경영진의 보수체계와 관련 “경영목표를 이사회에 구체적으로 제시한뒤 이의 이행 여부에따라 보수가 달리 결정돼야 한다”면서 주택은행 金正泰행장이 스스로 택한 스톡옵션제를 바람직한 예로 제시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