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ㆍ영국ㆍ독일ㆍ호주 등 세계 각국이 은행 지분 직접매입 및 부분 국유화, 예금 3년간 보장 등 동시다발로 고강도 위기대응책을 쏟아내기 시작했다.
이에 앞서 선진7개국(G7) 및 한국과 중국ㆍ인도ㆍ브라질ㆍ멕시코 등 13개 주요 개도국이 참여하는 G20은 글로벌 금융위기의 심각성에 공감하고 이에 대처하기 위한 모든 정책적 수단을 강구하기로 했다.
G7과 G20회의에서는 다만 각국의 경제여건 등 현실적 제약으로 즉각적이고 구체적인 공동대응 방안을 도출하지는 못했다.
이로써 개별국가 및 글로벌 단위의 금융위기 대응 공조노력이 공포로 짓눌린 금융시장의 투자심리를 안정시킬지 여부는 아시아시장의 반응에서부터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G20는 11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경제장관회의를 개최한 뒤 성명에서 “금융시장이 안정되고 잘 기능하고 있다는 확신을 주기 위해 모든 경제적ㆍ재정적 수단을 동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G20는 이와 함께 특정 국가의 조치가 다른 나라의 비용부담이나 전반적인 시스템 불안정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금융위기 완화조치 마련과 관련해 긴밀한 소통체제를 구축한다는 데 합의했다. G20회의에는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예고 없이 참석, 상황의 심각성을 강조하면서도 위기 해결을 위해 다른 국가들과의 긴밀한 공조체제 구축에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국제통화기금(IMF)은 한국 등 24개 회원국이 참석한 국제통화금융위원회(IMFC)를 연 뒤 성명을 내고 “이번 경제위기는 매우 깊고 널리 확산돼 있어 국가 간 특별한 협력이 요구된다”면서 “IMF는 금융지원을 필요로 하는 회원국에 (언제든지) 자금을 지원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발표했다. 도미니크 스트로스 칸 IMF 총재는 “미국과 유럽 금융기관들의 지불능력에 대한 불안감 확산이 국제금융 시스템을 붕괴의 벼랑 끝으로 몰아넣고 있다”며 공동대응책 마련을 강력히 촉구했다.
지난 10일 워싱턴에서 열린 G7재무장관ㆍ중앙은행총재회의에서도 “현재 상황은 긴급하고 예외적인 조치를 요구하고 있다”면서 “금융시장을 안정시켜 자금흐름을 정상화하고 세계경제의 성장을 돕기 위해 단호한 조치와 함께 긴밀히 협력하기로 다짐했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유로존 15개국은 12일 오후5시 프랑스 파리에서 긴급 정상회담을 열어 유럽지역 금융위기를 잠재우기 위한 대응방안을 조율한 뒤 13일 오전 유럽 주식시장이 열리기 직전까지 시장안정대책을 발표하기로 했다.
다만 이번 연쇄회담에서 선진국들이 구체적인 공동대응책을 도출하지 못해 이를 은근히 기대해온 글로벌 금융시장에는 여전히 부담이 남을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회의 개최에 앞서 시장에서는 G7 및 G20 국가 대표들이 ▦은행 채권의 정부 보증 ▦공동 구제펀드 조성 ▦한시적 예금보호한도 폐지 ▦은행에 대한 자금수혈 등 일부 방안에 합의할 것으로 기대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