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박흥진의 할리우드 통신] 크루즈·와그너, UA 부활시킬까

지분 30%갖고 공동 소유주로<br>영화 흥행 여부등 회의적 시각도


톰 크루즈(44)와 그의 오랜 제작 파트너인 폴라 와그너(사진)가 지난 8월 파라마운트로부터 쫓겨난 지 두달만에 미니 스튜디오 유나이트 아티스츠(United Artists)의 공동 소유주가 됐다. 둘은 최근 MGM의 자회사인 UA의 지분 30%를 갖는 대신 UA를 위해 매년 4편의 영화를 제작하기로 계약을 맺었다. UA는 1919년 당시 배우 찰리 채플린, 더글러스 페어뱅스 및 메리 픽포드와 감독 D.W. 그리피스가 창작의 자유와 자신들이 만든 영화의 소유권을 확보하기 위해 창립한 할리우드 최초의 독립영화사. LA 서쪽 센추리시티의 MGM 본부에 있는 UA는 그러나 사실상 이름만 있는 껍데기 회사다. 과거 '제임스 본드'와 '록키' 및 '핑크 팬서' 시리즈를 만들었던 UA는 요즘은 남이 만든 영화의 마케팅과 배급으로 연명하고 있다. 이번에 MGM이 크루즈와 와그너를 영입, 와그너를 UA사장 자리에 앉힌 것은 UA를 부활시키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결과다. UA가 진짜 스튜디오로 서기 위해서는 자체 제작 영화가 필요하기 때문에 두 사람을 영입한 것이다. 또 둘이 UA에 합류함으로써 외부자본 유입과 함께 타 제작자들이 UA와 손잡고 일할 가능성이 커졌다. 그러나 영화계 일각에서는 크루즈와 와그너팀의 과거 실적을 들어 UA의 두 사람 영입에 대해 회의론을 보이고 있다. 둘이 만든 영화 중 크루즈가 나오지 않은 영화들은 대부분 흥행이 신통치 않았기 때문. 일례로 둘이 제작한 올랜도 블룸 주연영화 '엘리자베스타운'은 파라마운트에 3,000만달러의 손실을 입혔다. 그리고 크루즈의 에이전트로 14년 전 크루즈와 손잡고 제작자가 된 와그너는 한 번도 회사를 운영해 본 적이 없어 과연 그녀가 UA를 얼마나 잘 이끌어나갈 것인지도 의문이다. UA는 파란만장한 역사를 지닌 영화사다. 1919년 창립 뒤 1940년 히치콕이 감독한 '레베카'로 스튜디오가 첫 오스카 작품상을 타긴 했으나 채플린과 픽포드의 당초 설립 취지는 제대로 결실을 보지 못했다. 1951년 창립 4인중 UA에 남아 있던 채플린과 픽포드는 회사를 연예전문 변호사인 아서 크림 등에게 매각했다. UA의 전성기는 보험사 트랜스아메리카가 경영하던 60년대와 70년대. 60년대 UA가 만든 명작들로는 오스카 작품상을 탄 '아파트 열쇠를 빌려 드립니다'와 '웨스트사이드 스토리' 등이 있다. 크림 등은 UA를 1967년에 트랜스아메리카에 팔았는데 1975년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를 시작으로 1977년까지 '록키'와 '애니 홀'로 잇달아 오스카 작품상을 타는 기록을 내기도 했다. UA의 영화로 오스카 작품상을 탄 다른 것들로는 '미드나잇 카우보이'와 크루즈가 나온 '레인 맨'이 있다. UA가 망하게 된 것은 마이클 치미노 감독의 농부 대 카우보이들간의 혈전을 다룬 1980년작 '천국의 문'의 흥행실패 때문. 이 영화는 4,400만달러의 제작비를 들여 단 130만 달러밖에 벌지 못했다. 1981년 부동산 업자로 MGM 회장이었던 커크 커코리안이 UA를 매입, MGM/UA가 됐는데 그는 회사를 테드 터너에게 팔았다. 터너는 회사를 사자마자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등 회사의 노른자위 영화들만 빼먹고 MGM의 제작 및 배급시설과 로고와 함께 UA를 다시 커코리안에게 매각했다. 커코리안은 회사를 1990년에 다시 팔고 1996년에 이를 재매입하는 등 MGM/UA는 그동안 주인이 여러 차례 바뀌면서 큰 시련을 겪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