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외국계 금융인 "금융허브 실현가능성 낮다"

외국계 금융기관 종사자들은 우리나라의 금융허브 정책에 대한 인지도는 매우 높지만 실현 가능성은 낮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국인 두명 중 한명은 향후 금융허브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의 우선순위로금융규제.감독시스템 개선을 꼽아 금융허브 달성을 위해서는 정부 규제완화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재정경제부는 지난 5월29일∼6월2일 국내에서 영업 중인 국내외 금융기관 직원190명(국내계 108명, 외국계 82명)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금융허브정책에 대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렇게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체의 83.2%가 금융허브 정책을 명확히 인지했으며 특히 외국계(87.8%)가 국내계(79.6%)보다 비교적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단계적 금융허브 추진전략의 적절성에 대해서도 국내계 89.8%와 외국계 84.1%가적절하다고 응답, 대부분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북아금융허브의 실현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이들은 조사대상의 51.1%에 그쳤고 특히 외국계 금융기관 종사자들 중 62%는 실현 가능성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향후 정책의 우선순위와 관련 금융규제.감독시스템 개선이 44.2%로 가장 많았고,금융시장 선진화 30.5%, 경영.생활환경 개선 13.2%, 자산운용업 육성 12.1% 등의 순이었다. 특히 외국인들은 전체의 절반이 넘는 51.2%가 향후 정책의 우선순위로 규제.감독시스템 개선을 꼽아 금융허브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규제완화가 가장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지난 1년간 추진된 금융허브 정책 중 잘된 부분으로는 외환거래 조기자유화, 자본시장통합법 제정 추진 등 금융시장 선진화라고 답한 이들이 전체의 37.9%로 가장많았고 자산운용업 육성 28.4%, 금융규제.감독시스템 개선 24.2%, 경영.생활환경 개선 9.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