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대기업 지배구조 개선 "진전있다"

USB證, 자사주매입·배당금 증액등 '코리아 디스카운트' 점차 해소 현상

국내 재벌기업들의 지배구조가 개선되고 있어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해소될 것이란 분석이 제기됐다. 25일 UBS증권은 한국 투자전략 보고서를 통해 기업들의 자사주 매입ㆍ배당 급증 및 외국인 지분율 사상 최고치 등에 힘입어 한국 증시가 제 가치를 평가받을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장영우 UBS 리서치헤드(전무)는 “코리아 디스카운트 문제는 지난 1998년 이후 잠깐 줄어드는 듯 하다가 다시 확대됐다”면서 “그러나 재벌들의 기업지배구조 개선 노력과 주주중시 정책 등에 힘입어 점차 사라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한 근거로 UBS는 기업들의 자사주 매입 및 배당 급증을 들었다. 거래소 상장기업들은 지난 1999년부터 자사주 매입에 나서기 시작해 매입 규모가 확대되고 있으며, 현금 배당 역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상장기업들의 주주환원 금액(자사주 매입 + 현금배당)은 지난해 10조원을 넘어서 지난 1999년의 5배로 늘었다. 또 일부 대기업에서 경영권 분쟁이 발생한 것과 관련, 재벌기업들이 경영권 방어를 위해 핵심 사업부문에 대한 지분을 늘려나갈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지분 확대 방법으로는 ▦창업주 가족들의 주식 매집이나 ▦핵심기업들의 주식소각 등이 이용될 것으로 예상했다. 장 전무는 “이 같은 지분구도에서 봤을 때 재벌기업 그룹내 주요 사업부문이지만 소유 지분이 불충분하거나, 준 지주회사이면서 지분율이 높지 않은 기업들이 수혜를 입을 것”이라면서 삼성전자ㆍ삼성물산ㆍSKㆍ현대모비스ㆍ현대자동차 등을 예로 들었다. 한편 UBS는 “한국 증시에 긍정적인 견해를 유지한다”며 “글로벌 경기사이클이 과거 사례보다 저점을 더 빨리 찍는다면 올해 4ㆍ4분기나 내년 1ㆍ4분기에 랠리를 시작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글로벌 경기 둔화는 이미 주가에 반영됐으며, 소비회복이 예상보다 양호할 것이란 설명이다. 또 정부의 통화 및 재정 부양책이 기대되는데다 주가 수준이 역사적 저점일 정도로 저평가 매력이 높다는 점도 한국 증시를 긍정적으로 보는 이유로 꼽았다.

관련기사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