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CJ푸드 '학교급식' 손뗀다

기존시설 해당학교에 무상기부… 노하우도 이전<br>결식학생 9,300여명엔 현금5,000원 지급<br>당정, 위탁업체에 안전관리 포괄책임 추진

이창근 CJ푸드시스템 대표가 26일 화곡동 본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급식파문에 대해 고개를 깊이 숙여 사과했다. /손용석기자

CJ푸드 '학교급식' 손뗀다 기존시설 해당학교에 무상기부… 노하우도 이전결식학생 9,300여명엔 현금5,000원 지급당정, 위탁업체에 안전관리 포괄책임 추진 이재용기자 jylee@sed.co.kr 성행경기자 saint@sed.co.kr 이창근(가운데) CJ푸드시스템 대표와 임직원들이 26일 화곡동 본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급식 파문에 대해 고개를 깊이 숙여 사과하고 있다. /손용석기자 사상 최악의 단체급식 사고를 일으킨 CJ푸드시스템이 학교급식사업에서 손을 뗀다. 이창근 CJ푸드시스템 대표는 26일 서울 강서구 화곡동 본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번 학교급식 중단 사고로 학생과 학부모들에게 심려를 끼친 데 대해 깊이 사과한다”며 “정부와 시민단체ㆍ학부모들이 추진하는 학교급식 직영화가 조기에 이뤄질 수 있도록 오늘부터 전국 93개 초ㆍ중ㆍ고교 및 35개 대학의 학교급식사업에서 철수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 사장은 이어 “학교급식 직영화가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도록 이미 투자한 급식시설을 아무 조건 없이 해당 학교에 무상 기부하고 급식 관련 메뉴나 노하우도 해당 학교에 이전한다”고 말했다. CJ푸드시스템은 학교급식 직영화가 완료될 때까지 자사의 영양사를 해당 학교 급식장에 상주시키고 인건비를 부담하기로 했다. CJ푸드시스템은 또 이번 급식 중단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결식아동에게 무료 및 대체급식을 제공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26일부터 각 시도교육청이 지정한 학생 6,800명과 자체 지원 결식학생 2,500명 등 결식학생 9,300여명에게 현금 5,000원을 지급해 빵이나 음료를 구입하거나 외부식당을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 식중독 치료를 받은 학생들의 병원비를 회사측에서 전액 부담하고 중장기적으로 회사 차원의 결식학생 지원을 위한 기부 프로그램을 확대하겠다는 계획도 덧붙였다. CJ푸드시스템은 이번 사업 철수로 협력업체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우수 납품업체의 경우 직영 전환 학교에 공급업체로 추천하겠다고 밝히는 등 구제 방안도 내놓았다. 현재 CJ푸드시스템의 학교급식 관련 거래업체 수는 325개이며 1,200여명의 인력이 종사하고 있다. 한편 정부와 열린우리당은 급식사고가 발생할 경우 위탁급식업체들이 식자재 협력업체의 안전관리 문제까지도 포괄적으로 책임지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당정은 이날 국회에서 급식사고 진상조사위원회 이미경 위원장과 김진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협의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반영해 식품위생법 및 시행령을 개정하기로 했다. 당정은 현행법상 위탁급식업체들이 유통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에 대해서만 법적 책임을 지고 있지만 법개정을 통해 협력업체들이 공급하는 식자재 관련 사고에 대해서도 법적 책임을 물을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교육인적자원부도 이날 전국 시도교육청 학교급식 담당국장 회의를 소집하고 27일부터 다음달 10일까지 전국 초ㆍ중ㆍ고교 급식소 8,000여곳에 대한 특별위생점검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은 교육청과 식약청ㆍ지방자치단체 합동으로 실시되며 점검반은 식품 구매ㆍ검수 및 보관과 위생적 취급, 종사자 위생, 음용수 관리, 위생관리 체계 등 8개 항목을 집중 점검하기로 했다. 입력시간 : 2006/06/26 18:11

관련기사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