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잇단 벤처비리 찬바람 부는 대덕밸리

잇따른 벤처비리 여파로 대덕밸리가 꽁꽁 얼어 붙어있다.최근 사회적으로 큰 파장은 일으킨 ㈜다림비전의 비리사건 이후 일부 벤처기업들이 제2의 벤처비리 수사가 진행되지 않을까 우려해 낮은 포복을 하고 있으며, 회사운영자금 및 생산시설 확충에 나서야 벤처들도 기관 또는 일반인의 투자기피로 두 손을 놓은 상태다. ◇주주불만 고조 대덕밸리 벤처들은 다림비전의 사태가 주주들의 불만을 제대로 소화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풀이하며 대응책 마련에 분주하다. 실제 상당수 벤처기업들은 투자자를 모집할 때 약속했던 코스닥 진출 등을 수년동안 지키지 못하고 있고 향후 계획 또한 확실하지 않아 주주들의 불만만 고조시키고 있다. 특히 '묻지마 투자'에 나선 소액투자자들의 경우 장외시장 등을 통해 액면가의 수십 배에 주식을 매입했으나 이들 벤처기업들이 수년동안 코스닥 등록심사조차 나서지 못하자 불만이 극에 달하고 있다. 대덕밸리 A기업의 주식관리자 김모씨는 "주주들로부터 하루에 수십통씩 회사의 향후계획을 묻는 전화가 걸려와 일일이 응답하고 있다"며 "홈페이지 주주게시판에도 주주들의 문의 및 항의성 글들이 수백건씩 올라와 이를 처리하느라 하루가 어떻게 가는지 모르겠다"고 푸념했다. ◇투자금 유치도 차질 고위층의 잇단 벤처게이트에 대덕밸리 벤처도 연루되자 잘 나간다는 일부 업체 뿐만 아니라 상당수 벤처들이 나서기를 꺼린 채 회사내실 챙기기에 전념하고 있다. 특히 정부와 자치단체 등으로부터 보다 많은 혜택을 받았다고 지목되는 BㆍC업체 등 일부 벤처들은 오해의 눈길을 받아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하지 않을까 우려하며 대외활동을 극도로 자제하고 있다. 또 이 같은 상황은 투자 기피현상으로 이어져 상당수 벤처들이 그동안 모집했던 투자금을 모두 소진한 채 자금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덕밸리 벤처투자전문기관의 한 관계자는 "대덕밸리 상당수 기업들이 생산단계에 돌입하고 있으나 생산시설 확충을 위한 자금확보에 실패하고 있어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잇따른 비리 사건은 투자자들의 투자의욕을 크게 저하시키고 있어 기관까지 자금 확보가 여의치 못한 형편"이라고 말했다. ◇매출확대 나서 주주들의 불만이 기업의 사활에 큰 영향을 미치자 벤처기업들은 연구ㆍ개발엔 손을 놓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제품 생산에 나선 곳도 있다. 대덕밸리의 DㆍE사 등은 대기업에의 납품 등을 통한 매출확대 전략을 수정해 피부미용기 등 소비자에게 접근하는 생활품을 개발해 판매에 나서고 있다. 대덕밸리 F사 이모대표는 "회사가 오랫동안 준비해온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해 투자자 유치에 나섰으나 성공하지 못했다"며 "회사가 이제까지 개발한 제품의 판매활동 확대를 통해 매출을 극대화하는 중장기적 회사발전전략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珉炷?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