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시론/8월 16일] 입학사정관제 내실 다질 때

대학의 운영 권한 중 학생 선발권은 대학의 자율성을 가늠할 수 있는 핵심 사항 중 하나다. 자율화 정책이라는 현 정부의 입시 기조하에서 학업성적뿐 아니라 지원자의 적성ㆍ인성ㆍ잠재력 등 다양한 자료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학생선발제도인 입학사정관제가 도입됐다.

과거와 비교하면 입학사정관제도는 다양한 자료를 통해 학생의 다면을 정성적으로 종합평가할 수 있다. 입학사정관제를 적용한 대입전형 확대로 대학의 인재상에 적합한 인재를 선발할 수 있게 됐다. 입학사정관제를 도입 취지에 맞게 운영하는 대학들은 질적·양적인 발전을 거듭하면서 순차적으로 바람직한 대입 자율화를 이뤄가는 과정에 있다.

다면평가·사교육 문제 해결 장점


입학사정관제 도입 초반에 학생들의 학습 부담과 사교육비 문제 심화, 고교교육 정상화 훼손, 입학사정관에 대한 전문성 의혹, 정성평가의 공정성 및 신뢰성 의혹 등이 우려됐다.

관련기사



대학, 교육과학기술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의 대응책은 무엇이었나. 입학사정관제 전형 절차의 투명성을 담보하기 위해 각 대학이 입학사정관제 공정성 확보 방안으로 다수의 사정관이 실시하는 다단계 평가 진행, 제출 서류 간 상호 점검체계 구축, 공정관리위원회의 모니터링, 지속적인 교육을 통한 전문성 강화, 표절검색 시스템 구축 등을 들 수 있다. 또 학생들이 각 대학의 요구에 따라 이리저리 끌려다녀야 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우려는 대교협과 교과부의 공동양식개발, 창의적 체험활동 종합지원 시스템 활용, 입학사정관전형 운영 관련 지침 마련으로 최소화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입학사정관제 도입으로 사교육비 문제가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를 불식하기 위해 실시한 대학별 입학사정관제 사교육 실태 조사 연구 결과 입학사정관제 사교육을 받았던 학생들은 사교육이 대학입학과 연계해 별 효과가 없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즉 단시간의 노력일 수 없는 학생의 삶에 대한 증거물을 제출 서류로 제시해야 하는 입학사정관제하에서는 사교육시장이 맥을 못 추는 것으로 조사됐다.

고교교육 활성화를 위한 입학사정관제 도입은 공교육 정상화 훼손이라는 우려의 목소리와 달리 학교생활기록부의 비교과영역과 교사추천서가 입학사정관전형에서 주요 전형서류로 자리매김함으로써 대입과 관련해 고등학교의 역할에 힘이 실렸다. 사교육을 통해 내신ㆍ수능ㆍ실기시험ㆍ논술고사에서 높은 성적을 받으면 대학에 입학했던 예전에 비하면 입학사정관전형의 도입으로 고교교육이 활성화된다는 시사점은 명확하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전공적합성과 학생의 잠재력을 중시하는 입학사정관전형에서는 지원하고자 하는 모집단위에 관련된 교과 성적만 우수해도 전문성을 갖춘 학생으로 인정된다. 입학사정관전형이 일반전형에 비해 지원자들의 학습 부담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물론 현재 고등학교 학부형ㆍ학생의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이해가 높지 않아 불필요한 입시부담을 느끼는 경우가 많지만 이는 각 대학별, 대교협의 입학사정관제 설명회로 점차 해소되리라 본다.

자율성 보장하되 획일화 막아야

입학사정관제 도입으로 대입자율화를 이루기 위한 과제는 무엇일까. 정부는 약속한 지원 체제 마련으로 대학이 입학사정관제를 독자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자율성을 보장하고 인프라는 지원하되 획일화된 입학사정관전형 모델 제시는 지양해야 한다. 그리고 대교협은 자율화를 중심으로 대학의 책무 장치를 마련해 사회적 신뢰를 확보해나갈 수 있도록 입학사정관제 정착 및 지속적 확장을 위한 틀을 마련해 제도의 내실화를 다져나가야 한다. 또 각 고등학교와 대학은 입학사정관제의 정착을 위해 끊임없는 소통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언론계는 성숙한 대입 자율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일희일비하지 말고 시행착오를 인정하며 개선되기를 기다려주는 사회 환경 조성에 주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