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중견건설사 '퇴출 공포'

채권銀, 내달까지 구조조정 대상 확정


올해 말 수도권 북부에서 분양을 앞둔 A건설사는 최근 거래 저축은행으로부터 택지 비용에 대한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연장이 불가능하다는 통보를 받고 퇴출 공포에 휩싸여 있다. PF 문제로 자칫 잘못하면 신용등급이 B등급에서 C등급으로 떨어지면서 바로 워크아웃에 들어갈 수도 있기 때문이다. 금융권의 기업 신용평가 및 구조조정을 앞두고 중견 건설사들이 퇴출에 대한 두려움에 떨고 있다. 2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채권은행들은 오는 6월 말까지 기업 구조조정 대상을 확정할 계획이다. 특히 지난해의 1ㆍ2차 구조조정이 '생색내기'에 그쳤다는 비판에다 남양건설과 같은 A등급 업체마저 부도가 나면서 신용평가에 문제가 많다는 지적까지 제기되면서 올해 신용평가 및 구조조정의 강도가 높을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더구나 정부마저 "죽을 기업을 살리지 않겠다"는 의지까지 표명, 중견 건설사들마다 최종 결과를 기다리며 노심초사하고 있다. 채권은행들은 이미 금융사 여신 500억원 이상, 해당 은행 여신 50억원 이상인 1,500여개 기업에 대한 기본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했으며 이중 800곳 정도를 추려 세부평가에 착수했다. 이들 기업에 대해 6월 말까지 A(정상), B(일시적 유동성 부족), C(워크아웃), D(법정관리) 등급으로 분류한 뒤 퇴출 수순을 밟을 예정이다. 저축은행의 한 여신심사역은 이와 관련해 "재무제표상 나타나는 단순한 부채비율뿐 아니라 PF 우발채무와 재무제표상의 비계량지표 등을 통합적으로 판단해 신용평가를 하고 있다"며 "금융 당국이 직접 직원을 파견하는 등 예년보다 훨씬 빡빡한 기준으로 심사가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구조조정의 폭이 예상보다 크고 A등급 대형 업체까지 정리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소식도 들린다. 실제 올해 초부터 부도 위기설이 돌던 N건설의 경우 이미 채권단으로부터 C등급 판정을 받고 사실상 워크아웃 상태에 돌입한 것으로 전해졌다. B건설 재무팀장은 "PF 우발채무는 물론 공공공사에서 최저가 낙찰을 얼마나 받았는지, 턴키 공사의 수주금액은 적정했는지 등 토목 부문에서도 전방위적인 조사가 이뤄지고 있다"며 "당장 부채비율이 안정적이라 해서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C건설사의 한 관계자도 "PF 대출이자를 갚기 위한 에버그린(대출이자를 갚기 위해 추가로 돈을 빌리는 회전대출)이 중단된 상태에서 기존 PF 대출 상환 압력이 거세지고 있다"며 "단기 유동성을 극복하지 못하면 결국 퇴출절차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의미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어느 업체라고 할 것 없이 대부분의 중견 건설사들은 째깍째깍 운명의 시간을 향해 가는 초시계를 쳐다보는 기분으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