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서울대 "2005년 논문 황교수 지시해 고의조작"

서울대학교 중간조사 결과 발표 23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 본관에서 열린 황우석교수 관련 중간조사 결과 발표에서 노정혜 서울대학교 연구처 처장이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서울대 "2005년 논문 황교수 지시해 고의조작" "2개 세포주서 얻은 결과를 11개로 불려 고의적 조작""황 교수도 지시 일부 인정, 연구원 진술도 뒷받침"현재로도 황 교수 중징계 불가피…체세포 복제여부는 DNA분석결과 나와봐야"조사위 2ㆍ3번 줄기세포 검증중"…'스너피'도 의혹 검증키로"황교수 `바꿔치기' 주장은 김선종씨 조사하면 해소될 것" (서울=연합뉴스) 홍제성 기자 서울대학교 중간조사 결과 발표 23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 본관에서 열린 황우석교수 관련 중간조사 결과 발표에서 노정혜 서울대학교 연구처 처장이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관련기사 • 황우석 사단의 어제와 오늘 • 2005년 사이언스 논문 어디가 어떻게 조작됐나 • 황교수 '국민영웅'서 '논문조작' 추락까지 • '배아줄기세포' 어떻게 만드나 • 고개 떨군 국민 "모두 속았다" • "황교수 논문조작 개입했다" 중징계 불가피 • 복지부 '망연자실'…조작극 대책 마련 착수 • 재계 '황교수팀 논문 조작' 결과에 당혹 • '원천기술' 진위 DNA 검사에 달렸다 • "논문 의도적 조작하면 과학계 퇴출이 관행" • 논문조작 과학계 '후폭풍' 얼마나 될까 • '진상 규명' 젊은 과학도들이 '등불' 밝혔다 • "황교수, 모든 직책 버릴 것" • 황교수팀 난자 개수도 속였다 • 황교수팀 주장 원천기술은 '미완'? • 코스닥시장, 황우석 쇼크 벗어나나 • 황교수 '1호 최고과학자' 취소 불가피할 듯 황우석 교수팀의 줄기세포 연구를 재검증하고있는 서울대 조사위원회(위원장 정명희)는 23일 오전 11시 서울대 대학본부 4층 회의실에서 "황 교수의 2005년 사이언스 논문이 고의로 조작됐다"는 중간 조사결과를발표했다. 조사위는 "2005년 사이언스 논문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단순한 실수에 의한오류로 볼 수 없고 2개의 세포주에서 얻어진 결과를 11개로 불려서 만들어낸 고의적조작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조사위는 이런 고의적 논문조작에 황 교수가 직접 개입한 것으로 결론지었으며이에 황 교수에 대한 징계가 불가피하다고 입장을 정리했다. 또 황 교수가 주장한 `줄기세포 바꿔치기' 의혹은 김선종 연구원의 면담 뒤 해소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사위는 "황 교수팀이 논문에서 체세포 복제를 통해 만들었다고 하는 환자 맞춤형 줄기세포주가 11개로 보고했으나 논문 투고 시점인 3월 15일에는 2번, 3번라인등 2개만 존재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논문에 제시된 9개 중 4개는 오염사고로 죽어버렸고 2개는 장부상에 줄기세포형성 기록이 없으며 나머지 3개는 `콜로니'(세포덩어리) 상태로 관찰됐지만 논문 제출시점에는 줄기세포로서 성질이 검증되지 않은 상태였다는 게 조사위의 설명이다. 노정혜 서울대 연구처장은 "논문 조작을 황 교수가 직접 지시한 것에 대해 황교수도 일부 인정하고 있으며 연구원들의 진술도 이를 뒷받침한다"며 "지금 드러난논문 데이터 조작 사실만으로도 황 교수는 중한 책임을 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조사위는 논문의 DNA 지문분석 데이터와 관련, "논문에서는 줄기세포와 핵을 제공한 환자 체세포의 DNA를 각각 분석했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2ㆍ3번을 제외한나머지 9종은 한 환자의 체세포를 두 튜브로 나눠 분석을 의뢰했다"고 밝혔다. 따라서 같은 체세포의 DNA를 분석했기 때문에 두 데이터가 동일하게 나올 수밖에 없다는 게 조사위는 지적했다. 이런 황 교수의 논문조작에 다른 연구진이 연루됐는지는 조사위의 최종 결론이나와야 알 수 있다고 조사위는 밝혔다. 환자맞춤형 체세포 줄기세포임이 아직 확인되지 않은 2ㆍ3번 줄기세포의 DNA 지문분석 결과는 수일 뒤 나올 예정이라고 노 연구처장은 말했다. 또한 테라토마(기형암:줄기세포가 다른 세포로 분화되는지 확인할 수 있음)는실제로 2ㆍ3번 2개의 세포주에 대해서만 형성된 것이 확인됐다. 조사위는 "논문에는 7개의 세포주에 대해 테라토마가 형성됐다고 보고한 뒤 추후 3개로 정정했으나 조사결과 2ㆍ3번 2개에서만 테라토마 형성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조사위는 2004년 논문과 복제개 스너피에 대해 제기된 의혹에 대해서도 검증키로 했고 2ㆍ3번 줄기세포 외에 현재 논문 작성 뒤 설립된 줄기세포 6개에 대해 환자맞춤형 줄기세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DNA지문 분석을 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노 처장은 "22일 DNA 검증을 의뢰한 시료는 황 교수가 냉동보관한 뒤 해동하고있다는 5개를 포함해 냉동보관중인 세포의 시료 9개와 배양중인 세포 시료 9개, 환자의 체세포 13종, 테라토마 3종, 스너피 체세포 3종"이라고 말했다. 그는 "연구에 사용된 난자의 개수가 185개라고 황 교수는 주장하지만 현재까지조사한 결과 이보다는 훨씬 많다는 것이 파악됐다"고 말했다. 황 교수의 줄기세포 `바꿔치기' 주장에 대해서는 "아직 이뤄지지 않은 김선종연구원과 면담을 하게 되면 의혹이 많은 부분 해소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사위는 "황 교수의 연구데이터 조작은 진실성이 중요한 과학의 기반을 훼손하는 중대한 행위"라고 결론내렸다. 입력시간 : 2005/12/23 13:32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