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르면 외환 노조는 '외부 전문가위원회를 통한 합병 시점 결정' 등 같은 금융지주 내 자회사끼리의 통합에서는 상식적으로 받아들이기 힘든 요구를 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외환은행 내부에서조차 노조가 직원 복지 등 실리를 챙기지 않고 융통성 없는 협상만 진행하고 있다는 불만의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하나금융 측은 노조가 계속해서 협상 테이블에 나오지 않을 경우 직원들을 대상으로 직접 설명회에 나설 방침이다.
1일 하나금융이 '2·17 합의서에 대한 경영진과 노조 측 수정 제시안'을 공개한 가운데 하나금융 안팎에서는 외환 노조 측이 같은 요구를 되풀이할 경우 논의의 진척을 기대하기 힘들지 않겠냐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하나금융은 △통합은행명에 '외환', 또는 'KEB'를 포함 △인위적 구조조정 없음 △인사상 불이익 없음 △임금 및 복리후생 체계 유지 △전산통합 전까지 양행 간 직원 교차발령 없음 등 통합 후 은행 운영 방안에 대한 구체적 그림을 제시했다. 하나금융 관계자는 "피인수 은행 브랜드를 유지하는 것은 최초의 사례이며 합병 후에는 경쟁력 강화를 토대로 국내 시중은행 대비 최고 수준의 성과 공유가 가능한 이익배분제를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외환 노조 측은 △임종룡 금융위원회 위원장 입회하에 체결된 노사정 합의서를 제시 △합병 여부와 시기 등은 외부 전문가위원회에서 결정할 것 △정보기술(IT) 통합 추진시 노조 합의 요구 △통합 후에도 외환 노조 유지 및 분리교섭권 인정 등을 사측에 요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외환은행이 하나금융지주의 100% 자회사라는 점을 고려하면 노조의 이 같은 요구안은 자본주의적 상식과는 동떨어지는 지나친 요구라는 평가다. 하나금융 측은 "조직의 미래를 외부 전문가위원회에 맡기자는 발상을 어떻게 받아들일 수 있느냐"고 밝혔다.
이날 수정 제시안이 공개되면서 외환은행 내부에서도 노조의 요구안 가운데 직원들의 임금이나 복지·인사체계와 관련한 실리적 요구가 없다는 부분에 불만이 커지고 있다. 금융계에 따르면 지난 29일 열린 외환은행 노조 본점 분회장 간 긴급 간담회에서도 '이제는 실리를 챙겨야 한다' '지금 대화단 대표 4명으로는 융통성 있는 협상이 어려워 보인다' '직원들의 피로도가 높다'는 분회장들의 질문이 쏟아져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하나금융 측은 6일까지 합의가 불발될 경우 노조를 배제하고 직원들을 대상으로 직접 설명에 나서며 7월 중순 통합 예비인가 신청도 강행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