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러, 對韓 핵심에너지源 부상

원유수입량, 중동제외땐 濠이어 두번째로 많아<br>올해부턴 사할린산 천연가스도 처음으로 수입

자원대국 러시아가 우리나라의 새로운 핵심 에너지 공급원으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해 러시아산 원유 수입이 전년보다 3배 가까이 급증한 데 이어 새해부터는 사할린산 천연가스의 장기 계약물량 국내 반입이 시작된다. 11일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러시아산 원유 도입물량은 모두 3,812만9,000배럴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06년 1,397만3,000배럴에 비해 한해 만에 2.73배로 급증한 물량이다. 국가별 반입물량도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연합ㆍ쿠웨이트ㆍ이란ㆍ이라크ㆍ카타르 등 중동 6국을 제외하면 호주(3,910만1,000배럴)에 이어 두번째 규모다.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ㆍ중동 지역에 전량 의존했던 천연가스도 러시아로부터 올해 처음으로 도입된다. 러시아와 체결한 20년 장기 도입 계약에 따라 올해 수입계획량의 5.1%선인 150만톤의 국내 반입이 처음으로 이뤄진다. 러시아산 원유와 가스 도입물량은 앞으로도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석유공사를 주축으로 한 한국 컨소시엄과 러시아 측 파트너인 로즈네프트가 공동 개발 중인 서캄차카 해상 석유광구 사업이 지난해 실시된 물리탐사 결과를 토대로 올해 2개 공의 시추작업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 유전광구는 30억∼40억배럴가량의 원유가 묻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다 지금까지 한국이 참여한 유전 광구 대부분이 깊은 내륙이거나 거리가 멀어 생산물량을 모두 현지에서 판매하고 비상시 도입약정을 맺어두는 수준이었지만 지리적으로 우리와 가까워 실제 도입도 가능한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철균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