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LG유플러스 화웨이 보안 논란에 정면 대응, "안전성 검증받겠다"

LG유플러스가 최근 도입키로 한 중국 화웨이 장비의 보안 논란과 관련, 국내 공인기관과 함께 국제 보안인증기관에서 안전성을 면밀히 검증받을 것이라고 8일 밝혔다.


이는 중국 화웨이 기지국 장비 도입에 대해 미국 정부가 안보상의 이유로 우려를 표명하고, 일부 미국 상원의원들까지 한·미 동맹이 위협받을 수 있다는 뜻을 밝힌데 대한 반박 차원이다. 그동안 LG유플러스는 화웨이 장비 보안 논란에 대해 자사 통신망은 외부 인터넷망과 완전 분리돼 있어 원격 접속이 불가능한 폐쇄망인데다 통신망을 직접 운영·감시해 백도어 소프트웨어가 몰래 설치되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 또 가입자 정보 관리, 패킷 데이터 교환 등 중추 역할을 담당하는 롱텀에볼루션(LTE) 코어장비인 ‘EPC(Evolved Packet Core)’는 기존의 제조사 장비를 계속 사용하고, EPC와 단말기간 트래픽을 단순 전달하는 기지국 관련 장비만 화웨이에서 공급받을 계획으로 화웨이 장비를 통한 정보 유출은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때문에 이번에 국제적으로 공인된 기관에서 인증을 받아 아예 보안성 논란을 불식시키겠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앞서 이상철 LG유플러스 부회장은 지난 6일 출입기자단 송년회에서 “미국 상원의원이 제기한 문제가 기술·정치·외교 중 어떤 것인지 모르겠다”며 “정치·외교라면 말하기 어렵지만 기술적 문제라면 확실히 이야기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그러면서 그는 “캐나다, 호주, 스페인, 영국, 일본 등 여러 나라가 화웨이 LTE 기지국 장비와 같은 제품을 쓰고 있고 SK텔레콤과 KT도 화웨이 유선 장비를 쓰고 있다”며 “왜 우리만 문제가 되는지 왜 한국만 문제라고 하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 부회장은 화웨이의 무선통신 장비가 정보기술(IT) 분야 최대국제회의인 국제상호인정협정(CCRA)의 장비 테스트를 받아 인증서를 받은 제품이라는 사실을 강조했다. 그는 “우리도 소스를 오픈해 CCRA와 같은 확실한 테스트를 할 예정”이라며 “이번 기회에 아예 보안 문제에 대해 확실히 짚고 넘어가서 아무런 문제가 없음을 증명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LG유플러스는 자체적인 장비 보안 검증 방법이 정해지면 화웨이 장비뿐 아니라 기존 장비 공급업체의 제품도 별도로 보안 검증을 실시하는 것까지 고려하고 있다.


권대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