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현투 5,000억~7,000억에 매각

현투증권 매각 본계약이 체결돼 현투증권과 현대투자신탁운용이 미국 푸르덴셜그룹으로 넘어간다. 매각대금은 5,000억~7,000억원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현투증권 정상화를 위해 공적자금 2조4,000억원이 투입된다.. 정부와 미국 푸르덴셜그룹은 25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9층 대회의실에서 현투증권 매각 본계약을 체결했다. 본계약에 따르면 정부는 현투증권에 대한 완전감자를 실시한 후 신주를 발행, 이중 80%의 지분과 현대투자신탁운용을 푸르덴셜에 넘기게 된다. 나머지 지분 20%는 80%지분의 주식대금 완납후 3년이 경과한 시점부터 3년동안 푸르덴셜에 (우선) 매각하게 된다. 매각가격은 지분 80%의 경우 주식대금 완납 시점인 내년 1월말을 기준으로 이전 1년간의 영업실적에 따라 산정하게 된다. 나머지 지분 20%는 주금완납후 3년동안의 영업실적에 따라 결정된다. 이에 따라 매각대금은 지분 80% 분이 3,000억~4,000억원선, 나머지 20%이 2,000억~3,000원선으로 모두 5,000억~7,000억원이 될 것이라는 게 투신ㆍ증권업계의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또 현투증권의 부실해소와 재무건전성 등 경영정상화의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약 2조4,000억원의 공적자금이 투입될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는 이외에도 현재 진행중인 소송ㆍ확약ㆍ보증 위반 등과 채권담보부증권(CBO) 후순위채로 인한 손실에 대해 매각후 3년간 사후손실보전(Indemnification)을 해주고 현대증권 분리매각도 예정대로 진행하기로 했다. 한편 재경부는 한국투자증권과 대한투자증권의 국내외 매각을 위해 이달중 매각 주간사를 선정한뒤 내년 상반기중 우선협상 대상자 선정작업을 완료하기로 했으며 인수회사가 희망할 경우 대우증권을 끼워 파는 방안도 추진키로 했다. 변양호 재경부 금융정책국장은 “주간사가 실사를 거쳐 구체적인 매각방식을 최종결정하게 될 것”이라며 “인수자가 희망할 경우 대우증권의 동시매각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송영규기자 skong@sed.co.kr>

관련기사



송영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