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해외 유상원조 매년 10억弗 확대"

權부총리, 국내사 원조사업 시행자로 참여땐 큰수익 기대

4일 오전 서울 신라호텔 영빈관에서 열린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20주년 국제 콘퍼런스에서 권오규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이 축사를 하고 있다. /김동호기자

정부가 내년부터 해외 유상원조를 매년 10억달러 이상 대폭 확대하기로 해 국내 기업들이 원조사업 시행자로 참여, 오는 2010년까지 수조원대의 수익을 올릴 수 있을 전망이다. 권오규(사진)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4일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설립 20주년을 기념해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개발원조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공동 협력’ 국제 콘퍼런스에 참석, “개발협력국들의 개발수요에 부응하고 호혜적 경제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내년부터 EDCF를 연간 10억달러 이상으로 대폭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재경부에 따르면 7월 현재까지 우리나라가 개도국에 지원한 차관은 총 28억달러에 불과, 내년부터 10억달러 이상 EDCF가 대폭 확대될 경우 관련 건설사업 등에 국내 기업이 참여해 상당한 수익을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재경부의 한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인 비율이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향후 2~3년 간 매년 10억달러 중 3분의2는 국내 기업만 원조사업 시행자로 참여하는 제한경쟁 방식으로 진행될 것”이라며 “이에 따라 국내 대기업을 중심으로 적극적인 사업 참여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예컨대 내년부터 2010년까지 정부가 총 30억달러의 EDCF를 제공할 경우 이의 3분의2인 20억달러 규모의 사업을 국내 기업이 차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 관계자는 다만 “앞으로 원조사업의 큰 방향은 시행자를 우리나라 기업뿐 아니라 전세계 기업으로 확대하는 ‘비구속성 차관’ 형식으로 갈 것”이라며 “이 경우 기존 제한경쟁 방식은 갈수록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권 부총리는 이날 행사에서 “지난 46년 간 국제사회는 1조9,000억달러의 자금을 원조 형태로 개도국에 지원했지만 효과에 대해서는 평가가 엇갈리는 게 사실”이라며 “원조 금액을 늘리는 것만 아니라 원조의 효과성을 높이는 것도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