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고덕지구 재건축 조합-시공사 힘겨루기

시영·주공4단지 등 공사비·무상지분율 싸고 팽팽… 사업추진 변수로


서울 강동구 고덕동 일대 대규모 저층 재건축 추진 아파트들이 '공사비'와 '무상지분율'을 놓고 조합과 시공사간 힘겨루기로 곳곳에서 마찰을 빚고 있다. 최근 사업시행인가가 잇따르는 등 사업 일정에는 속도가 붙고 있지만 조합원 추가부담금 규모를 결정하는 지분율 협상이 원활한 사업 추진의 변수가 되고 있는 분위기다. 16일 고덕동 일대 재건축 조합과 중개업계에 따르면 이 지역 저층 재건축추진단지들은 최근 잇따라 사업시행인가를 받거나 준비중인 등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공7단지의 경우 지난달 말 사업시행인가를 받았으며 주공2단지 역시 최근 사업시행인가를 위한 주민공람 절차를 진행중이다. 고덕시영의 경우 조합원 이주 전단계인 관리처분계획인가를 목전에 두고 있으며, 이밖에 주공6단지와 주공3단지도 잇따라 시행인가 준비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각 단지들은 여전히 조합원 부담금의 관건이 되는 시공비와 무상지분율을 놓고 시공사와 팽팽히 맞서고 있는 상황이다. 고덕시영의 경우 시공사는 3.3㎡당 420만원의 공사비를 제시했지만 조합측이 이보다 90만원이나 낮은 330만원을 요구하면서 이견을 보이고 있다. 이지역 N공인 관계자는 "양측이 계속 협의중이긴 하지만 제시하는 가격 차이가 워낙 크다 보니 관리처분계획인가신청을 위한 조합원 총회가 제때 열릴 수 있을지 미지수"라고 전했다. 주공4단지의 경우 무상지분률이 원활한 사업추진의 관건이다. 140%를 제시한 현대산업개발과 150% 이상을 요구하고 있는 조합간 의견 차이가 좀처럼 좁혀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무상지분율이란 보유 토지지분의 가치를 결정하는 것으로, 높을수록 조합원의 추가부담이 줄어든다. 현대산업개발 관계자는 "조합측에서는 150% 이상의 무상지분율을 반영한 4차 수정제안서를 제출하라고 요구하고 있는데 현실적으로 수용하기 어려워 고민중"이라고 말했다. 이 일대 다른 재건축추진단지들도 상황은 비슷하다. 시공사들은 주택시장 침체를 감안, 지분율을 낮춰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조합측은 사업성을 근거로 좀처럼 양보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A건설 관계자는 "조합원의 추가부담금을 줄이면 그만큼 일반분양가를 높일 수 밖에 없다"며 "가뜩이나 분양시장이 침체인데 가격을 높이면 대규모 미분양이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