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다시 꼬이는 한진重 사태

해고근로자들 '1년내 재고용' 국회 권고안 반발<br>금속노조도 "시한 단축을"… 김진숙씨는 긍정적

지난 7일 국회가 제시한 한진중공업 정리해고 사태 권고안에 대해 정리해고 근로자들의 반대 목소리가 높아 조남호 한진중공업 회장의 권고안 수용에도 불구하고 해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10일부터 정리해고자들을 대신해 사측과 교섭에 나서는 금속노조는 재고용 시한 적용 시점을 최대한 앞당길 방침이다. 9일 한진중공업 노사 등에 따르면 정리해고 근로자들이 조직한 '한진중공업 정리해고 투쟁위원회(정투위)' 내부에서는 권고안이 미흡하다며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투위의 한 관계자는 "권고안에 따르면 앞으로 1년 동안 해고자로 있어야 한다"며 "애당초 정리해고 자체가 부당했기 때문에 수용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잘못한 사람이 원래대로 돌려놓아야 한다"며 즉시 복직을 요구했다. 금속노조도 "권고안은 권고일 뿐"이라는 입장이다. 문철상 금속노조 부산양산지부장은 "특히 재고용 시한 적용 시점은 권고안의 '노사합의가 이뤄진 날'이 아니라 정리해고된 '올해 2월14일'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지부장은 "미흡한 부분에 대해 해고 근로자들의 의견을 수렴해 적극적으로 교섭에 나설 것"이라며 "사측과의 협상에서 재고용 시한 적용 시점 간극을 좁히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7일 국회 환경노동위 소속 여야 의원들은 한진중 정리해고 사태해결을 위해 권고안을 제시했고 조 회장은 이를 3시간 만에 전격 수용했다. 권고안은 한진중이 해고 근로자 94명을 노사합의가 이뤄진 날로부터 1년 내에 재고용하고 그동안 근로자의 생계유지를 위해 2,000만원 한도 내에서 생계비를 지원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권고안은 한진중 영도조선소 타워 크레인에서 10개월째 고공농성 중인 김진숙 민주노총 부산본부 지도위원 농성 중단, 금속노조와 한진중공업 동의라는 전제조건이 붙어 있다. 김 위원은 이번 권고안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8~9일 부산에서 열린 한진중 정리해고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5차 희망버스 행사는 경찰이 물대포를 쏘며 저지, 영도조선소 앞 집회가 무산된 채 마무리됐다. 경찰은 해산작전에서 모두 59명을 연행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