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헝가리 국채 매각 발행목표 또 미달

헝가리 정부가 20일(현지시각) 국채 매각을 실시한 가운데 애초 계획물량을 달성하지 못했다. 하지만 헝가리의 국채 발행 목표 미달은 헝가리 정부가 자초한 면이 상당하다. 로이터 등 외신에 따르면 헝가리 정부는 이날 입찰매각을 통해 350억 포린트(미화 1억5,700만 달러) 규모의 3개월물 국채를 발행했다. 헝가리 정부는 애초 450억 포린트 규모의 국채를 발행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시장이 헝가리에 우호적이지 않다는 판단에 발행 물량을 줄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5월 말 헝가리가 ‘제2의 그리스’로 우려된 가운데 헝가리 정부는 단기 국채 입찰매각에서 네 차례 연속 계획물량 보다 부족한 국채를 발행했다. 이날 매입 주문은 525억 포린트로 집계됐으며 평균국 발행금리는 연 5.47%를 기록했다. 지난 13일 같은 만기 국채입찰에서 매입 주문 1,025억 포린트, 발행금리 연 5.28%를 보였던 것과 비교하면 발행여건이 나빠진 것이다. 유럽연합(EU)과 국제통화기금(IMF)은 헝가리 정부와 자금지원을 위한 연례점검협의를 벌였으나재정긴축 노력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지난 주말 협의 중단을 전격적으로 선언했다. EUㆍIMF는 재정적자 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지속 가능한 추가 긴축 조치를 요구했지만 헝가리는 지난 4월 피데스당(청년민주동맹) 집권 후 올해 재정적자 감축 목표를 국내총생산(GDP)의 3.8%로 제시하는 등 사실상 추가 긴축을 거부했다. 헝가리의 지난해 재정적자는 GDP의 4%였다. 오르반 총리는 “2008년 IMF와 맺은 대기성 차관 협정(올 10월 만료)은 ‘2010년 재정적자를 (GDP 대비) 3.8%로 한다’는 단 하나의 사항을 담고 있다”면서 “우리는 이 유일하고 구체적인 목표를 이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그는 “협정에는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이 없었다”며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의 선택과 이행 시기는 정부의 고유한 책임”이라며 금융세 도입 강행에 대한 의지를 피력했다. 헝가리 정부는 올해와 내년 재정적자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긴축 조치의 핵심으로 은행 등 금융회사에 3년간 한시적으로 금융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그러나 EUㆍIMF 등은 금융시장을 왜곡할 수 있다는 점 등을 들어 금융세 도입이 아닌 다른 긴축 조치를 요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