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마이클 잭슨 죽어서도 지구 최고의 스타

마이클 잭슨 사후 소득이 저스틴 비버의 소득보다 높은 것으로 알려져


21일(현지시각) 영국 일간지 인디펜던트는 마이클 잭슨(이하 잭슨)이 사후 4년간 음반 저작권과 영화 판권, 기념품 판매 등으로 약 6억 달러(약 6,790억 원)정도의 소득을 올렸다고 보도했다.

현재 저스틴 비버를 비롯해 그 어떤 문화예술계 종사자도 잭슨의 소득 수준을 뛰어넘지 못했다. 미국 CBS 방송이 자사 특선 다큐멘터리 ‘마이클 잭슨 60분’에서는 사후 4년이 되었는데도 불구하고 늘어나는 잭슨의 재산의 배경으로 수많은 헌정 공연과 일대기 영화 등에 따른 입장권 판매 수익이 한몫 했다고 분석했다. 잭슨의 마지막 공연 리허설 영상을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 ‘디스 이즈 잇’도 인기를 얻어 전 세계 입장료 수입만 3억 달러에 달했다. 또한 세계적 서커스단인 ‘태양의 서커스’에서 그의 음악을 소재로 한 공연은 성황을 이뤘다.


잭슨의 공동 유산관리자인 존 브랑카는 “잭슨 페이스 북 친구 수는 6천만 명에 육박하고, 그의 음악은 여전히 ‘아이튠스 뮤직 스토어’의 베스트셀러라고 말했다. 지난 4년 동안 그의 앨범은 5천만 장 넘게 팔렸다.

관련기사



잭슨은 숨질 당시 약 5억 달러의 부채를 남겼다고 오랜 기간 그의 재산 내역을 추적해온 한 포브스지 기자가 전했다. 기자는 “잭슨이 죽기 전까지 80년대의 소비습관을 버리지 못해 흥청망청했고, 급기야 빚을 메우고자 비틀스 음악의 저작권을 대형 음반제작사인 소니에 넘겼다”고 말했다. 그러나 잭슨은 소니의 저작권 관리업체인 ‘소니/ATV 뮤직 퍼블리싱’의 지분 절반가량을 보유하고 있다. 그의 막대한 유산 가운데 각각 40%가 자녀와 어머니에게로 돌아가며, 나머지 20%는 자선단체로 환원됐다. 이밖에 세 자녀는 현재 다섯 곳의 창고에 나눠 보관 중인 그의 유품들도 성인이 되면 나눠 가질 수 있다. 그 중에는 네버랜드 대저택의 자동차, 골동품과 잭슨이 뮤직비디오 ‘빌리진’에서 입은 검은색 재킷도 포함돼 있다.

잭슨은 2009년 6월 25일 자택에서 프로포폴 성분의 마취제와 진정제 과다복용으로 5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주치의 콘래드 머레이는 지난해 과실치사 혐의로 유죄평결을 받은바 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