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12월 4일] '제2 벤처붐' 숫자보다 내실이 중요

정부가 3조5,000억원의 벤처펀드를 조성해 녹색기업 1,000개 등 1만개의 벤처기업을 육성하는 '제2의 벤처붐'을 조성하기로 한 것은 일자리 창출과 경제 활성화를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일자리 창출과 성장 잠재력을 높이려면 도전적인 기업가정신과 뛰어난 기술을 가진 벤처기업이 많이 나와야 한다. 그러나 과거처럼 벤처 거품이 되풀이돼서는 안 된다. 이를 위해서는 덮어놓고 자금을 살포할 것이 아니라 선택과 집중 및 철저한 사후관리가 요구된다. 외환위기 이후 정부가 주도한 벤처 육성은 나름대로 성과가 없지 않았지만 과도한 열기와 거품에 따른 폐해 등 부정적 이미지가 여전히 남아 있다. 김대중 정부가 '1차 벤처붐'을 조성했으나 옥석을 가리지 않은 마구잡이 지원과 사후관리 부실로 엄청난 후유증을 남겼다. 이번 벤처육성정책은 그런 전철을 되풀이하지 않도록 지난 경험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이번 대책은 범정부 차원에서 포괄적 지원 및 추진방안을 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지원 분야를 다원화한 가운데 녹색산업에 중점을 뒀다. 1차 벤처붐 조성 때는 지원 분야가 거의 정보기술(IT)에 국한됐다. 이와 달리 이번에 IT는 물론 IT융합기술ㆍ신재생에너지ㆍ친환경 같은 녹색기술(GT) 등 미래 먹을 거리에 중점적으로 투자하기로 한 것은 바람직한 방향이다. 정부는 오는 2013년까지 녹색 분야를 중심으로 1,000개의 녹색 벤처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1차 벤처붐이 실패한 것은 정부 정책이 퍼주기식이었고 머니게임을 통한 한탕주의가 만연했기 때문이다. 이러다 보니 올바른 기업가정신이나 변변한 기술도 없는 사이비 벤처들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났다 사라졌다. 이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지원 대상 기업 선정기준 및 평가 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 벤처기업은 정부의 자금지원과 기술ㆍ연구개발(R&D)이 어우러져야 정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산학연 연계도 중요한 과제이다. 정부가 선택과 집중을 통한 자금지원을 충분히 하고 사후관리에도 빈틈이 없다면 제2의 벤처붐 조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