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이통사 의무약정 전략 엇갈려

SKT "VIP고객 이탈 막자" KTF "순증가입 늘리자"<br>SKT "사용요금 많으면 보조금도 많이"<br>KTF "3G 신규가입자엔 4만원 더 지급"


SK텔레콤과 KTF가 의무약정제도를 본격 실시하면서 상반된 보조금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SK텔레콤은 단말기 보조금 지급 대상으로 다량 사용자 위주로 편성한 반면, KTF는 3세대(3G) 신규 가입에 초점을 맞춰 정면승부에 돌입했다. SK텔레콤은 1일 의무약정제도인 ‘T기본약정’ 보조금을 연간 이동전화 사용액 기준으로 지급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SK텔레콤의 의무약정에 가입해 기기변경을 할 경우 ▦연간 사용액이 90만원이상(VIP고객)은 13만~18만원 ▦60만원 이상~90만원 미만(골드고객)은 10만~15만원 ▦60만원 미만(실버 및 일반 고객)은 7만~12만원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반면 신규나 번호이동으로 의무약정에 가입한다면 3만~12만원만 받을 수 있다. 특히 기기변경을 할 경우의 보조금이 신규나 번호이동을 할 경우보다 더 많다는 점에서 KTF와 분명한 차별성을 보이고 있다. 이는 SK텔레콤 고객들의 평균 가입기간이 약 4년에 달하는 등 장기가입자가 많다는 점을 감안, 의무약정 전략도 우수 고객들의 이탈을 막는데 주력했다는 분석이다. 이와는 달리 3G 올인 전략을 펼치고 있는 KTF는 의무약정에서도 3G 신규 고객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의무약정에 가입했을 경우 2G나 2G에서 3G로의 신규전환, 또는 기기변경보다는 순수하게 신규로 3G로 가입하는 고객에 보조금이 더 많다. 실제로 KTF는 2G에 신규로 가입했을 때 보다 3G에 새로 가입하면 보조금을 4만원을 더 지급하고 있다. 이는 최근 KTF가 올들어 순증 가입자를 확보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힌 것과 밀접히 연관돼 있다는 것이 업계의 분석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의무약정을 보면 각 사업자의 전략차이가 분명하게 찾아볼 수 있다”며 “사업자를 선택할 때도 자신이 어떤 것을 원하는 지 알아야 보다 유리한 조건을 찾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