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국제회계기준 2010년 도입 계획 '1~3년 늦춰질듯'

금감원 위원 "상장사 규모별 차등적용 검토"


오는 2010년 전면 시행할 계획이던 국제회계기준(IFRS) 도입작업이 당초보다 1~3년 늦춰질 것으로 보인다. 임석식 금융감독원 전문심의위원은 22일 수원 아주대학에서 한국회계학회(회장 김광윤ㆍ사진)가 주최하고 서울경제가 후원한 ‘국제회계기준 로드맵’ 세미나에서 “국제회계기준 전면도입에 부담을 느낀 업계가 반발하고 있고 재정경제부도 적용시기를 다소 늦춰달라는 의사를 전해왔다”며 “도입시기를 기업규모에 따라 당초보다 1~3년씩 늦추는 방향으로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자산 2조원 이상 상장기업(138개)의 경우 현재는 연말 재무제표 작성 때만 연결기준을 적용하고 있지만 2011년 국제기준이 도입되면 연말은 물론 분ㆍ반기에도 연결재무재표를 주 재무제표로 작성해야 한다. 또 자산 2조원 미만 상장사(1,632개사)의 경우 연말 연결재무재표는 2011년부터 의무화하되 분ㆍ반기 재무제표는 2013년부터 연결 기준을 적용하도록 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만약 국제기준 적용을 희망하는 기업은 당초 계획대로 2009년부터 국제회계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그동안 금감위 태스크포스팀은 2010년부터는 모든 상장사들이 종속회사를 망라한 연결재무제표를 주 재무제표로 사용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국제회계기준 전면도입안을 마련했다. 하지만 국제회계기준을 모든 상장사에 한꺼번에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업계의 지적에 따라 일시적인 유예를 검토하고 있는 것이다. 권오규 부총리 겸 재경부 장관도 이에 앞선 21일 저녁 ‘2006년도 한국 최고재무관리자(CFO) 대상’ 시상식에 참석,“기업회계기준 제정 주체인 금융감독당국과 협의해 구체적인 적용범위와 시행시기를 정하되 충분한 유예기간을 두고 단계적으로 도입할 방침”이라고 밝혔었다. 국제회계기준이 도입되면 연결재무제표 사용뿐만 아니라 투자부동산이나 보험부채ㆍ퇴직금부채ㆍ유형자산 등을 공정가치(시가)로 평가해야 하고 대손충당금은 발생한 손실만 반영하고 상환우선주는 부채로 분류해야 한다. 또 종속회사의 범위가 현재 지분율 30% 초과에서 50% 초과로 높아지게 된다. 한편 이날 세미나에서는 임 위원 외에도 문택곤 한국공인회계사회 상근부회장이 ‘한국회계학 교육개선방안’을 발표한 것을 비롯, 재무회계ㆍ세무회계ㆍ회계감사 등 12개 부문에서 36편의 논문이 발표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