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북한과 식량지원 직접 협의할 생각"

柳외교, 정부입장 변화 시사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15일 대북 식량지원과 관련, “기회가 되면 북한과 직접 협의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북한의 요청이 있어야 식량지원에 나설 수 있다’는 기존 정부의 대북 식량지원 입장이 바뀌고 있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특히 이는 북미 간 핵 협상이 급진전되고 미국의 대북지원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는 반면 남북관계는 풀리지 않아 북한의 ‘통미봉남(通美封南)’ 전략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어서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유 장관은 이날 연세대에서 열린 ‘국제기구 진출 설명회’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관계국 및 국제기구 등과 북한의 식량사정에 대한 평가를 청취하고 협의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북한에 먼저 협의를 제안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통일부에서 여러 노력을 하고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해 북한과의 물밑 접촉을 준비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낳았다. 유 장관은 또 “인도적 차원에서 북한에 식량기근이 발생하면 안되므로 면밀히 보고 있다”고 말해 북한의 식량난이 더 심화되기 전에 식량지원에 나설 것임을 시사하기도 했다. 그는 대북 식량지원 방법에 대해 “직접 지원하면 제일 좋은데 세계식량계획(WFP)을 통해서도 해왔다. 매년 그때의 상황을 봐서 검토했었다”면서 “어느 것이 효과적이냐는 통일부가 주관이 돼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의 한 핵심 관계자는 이와 관련, “소위 국제기구를 통한 원조나 미국의 대북 식량원조에 참여하는 방식은 검토되고 있지 않다”고 말해 북한과의 협의를 통한 직접지원 방식에 무게를 실었다. 한편 정부는 이달 초 북측과 식량지원 협의를 가진 미국 당국자들을 통해 북한의 식량사정 등을 간접파악하고 식량지원 계획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