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셰일혁명 한국경제엔 독"

상의 "국내 제조업 경쟁력 저하 등 불이익 우려"

천연가스보다 최대 30% 이상 저렴한 셰일가스의 개발로 세계적인 에너지 혁명이 도래하고 있지만, 국내 산업계는 별다른 혜택을 못 받거나 오히려 반사적 불이익을 당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6일 발표한 '셰일혁명이 우리 산업계에 미칠 영향과 정책대응과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셰일가스 개발로 국제가스가격이 대폭 낮아지더라도 한국경제는 불리한 상황에 처할 것으로 분석됐다.


'셰일혁명'은 결국 ▦국내 제조업 생산기반의 약화 ▦화학·철강 등 주력산업의 경쟁력 약화 ▦국내 가스시장의 독점구조 ▦채굴기술 부족에 따른 해외 셰일가스 확보 어려움 등을 초래할 것으로 전망됐다. 보고서는 "세계적으로 생산비용이 낮은 지역으로의 생산기지 쏠림현상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제조업 생산거점으로서 한국의 위상이 더욱 약화될 수 있다"며 "우리 기업들도 셰일가스 생산국으로 공장을 이전하게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셰일가스를 원재료로 하는 미국산 화학제품의 생산원가가 우리의 60% 수준까지 떨어진 상태"라며 화학·철강 제품의 원가경쟁력이 미국·중국 제품에 비해 갈수록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또 20~30% 저렴한 미국 셰일가스가 국내에 도입돼도 국내의 독점적 시장구조와 압축·물류비용 때문에 가스가격 인하혜택이 발생할 수 있을지가 불투명하다고 지적했다. 가격인하 효과는 10% 수준에 그칠 것으로 관측했다.

관련기사



채굴기술이 부족해 셰일가스를 확보하기 어려운 것도 약점으로 꼽혔다. 보고서는 "셰일가스는 미국 외에도 중국과 폴란드 등에 상당량이 매장돼 있지만 개발은 미국이 대부분 독식하는 실정"이라며 "기술개발 없이는 셰일가스 확보전에서 소외될 수 있다"고 밝혔다.

대한상의 박종갑 상무는 "지금부터라도 셰일가스 확보를 위해 정부와 민간기업, 공사 등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해외광구를 개척하는 한편 셰일가스 기반 석유화학설비에 대한 투자확대, 에너지 다소비 산업의 생산공정 혁신 등 적극적인 대응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현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