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中 노리는 세계 럭셔리카 업체… 韓 부품 기업에 훈풍

글로벌 프리미엄 완성차 업체들이 연이어 중국 생산체제에 돌입하면서 중국에 진출한 외국계 자동차 부품사가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 중국의 자동차 시장 회복이 더디지만 럭셔리카 기업은 중국 시장 전망을 밝게 보는 분위기다.

KOTRA 상하이무역관 관계자는 8일 “자동차 시장이 성숙하면 럭셔리카가 전체 시장의 15%를 차지하지만 현재 중국 자동차 시장에서 럭셔리카 비중은 6%에 불과하다”며 “시장성을 염두에 두고 벤츠, BMW, 아우디의 뒤를 이어 여타 럭셔리카가 중국 현지화 생산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포드 링컨은 2020년 중국의 럭셔리카 시장이 미국을 추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앞으로 3~5년 내 중국의 럭셔리카 시장이 급속히 커질 것이라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관련기사



중국정부도 럭셔리카의 중국 현지 생산에 대해 호의적이다. 치루이와 재규어 랜드로버는 2012년 3월 완성차 합자사 설립계약을 체결한지 불과 7개월 만에 정부당국으로부터 이를 승인 받았다. 중국 정부당국은 자동차 산업 기술혁신을 위해 외국계 완성차 기업의 공장건설과 현지 연구소 설립을 반기고 있다.

볼보는 상하이에 R&D센터와 중국 본사를 설립하고 따칭과 청두에 완성차 공장을 설립했으며 장자커우에는 엔진공장을 건설 중이다. 인피니티는 내년부터 샹양공장을 가동해 우선적으로 두 개 모델을 현지 생산할 계획이다.

재규어 랜드로버 관계자는 중국 현지 생산 차량에 대한 부품 현지 조달비율을 초기에는 40%로 유지하다가 최종적으로는 60%까지 높일 것이라고 밝혔다. 현지 생산초기에는 엔진, 변속기 등을 수입할 예정이지만 점차 중국진출 외국 부품사로부터의 조달비율을 늘릴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김상철 KOTRA 상하이무역관장은 “럭셔리카의 중국 생산 확대로 중국 현지 자동차 부품수요가 전기를 맞을 것”이라며, “품질과 원가 면에서 한국 등 외국계 부품사가 가장 큰 수혜를 볼 것”이라고 말했다.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