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통신 1천2백억원 투입한 7개사업 무더기 퇴출

한국통신이 지난 3년동안 1천2백억원을 들여 의욕적으로 추진해온 각종 사업이 적자나 중복투자, 사업전망 불투명 등으로 인해 무더기로 퇴출될 전망이다.9일 한국통신이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金星坤의원(국민회의)에게 제출한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한국통신은 지난 95년부터 작년까지 3년동안 1천2백억원을들여 추진하거나 이미 시행중인 행정통신을 비롯, 전화비디오, 여의도 정보화시범,이지팩스, 인말샛, 선박무선, 공항무선 등 7개 사업을 퇴출 및 한계사업으로 확정했다. 2백10억원을 투입한 여의도 멀티미디어 시범사업은 상용화시 이용요금에 비해컨텐츠가 미약해 시장이 형성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다 대덕 초고속정보화시범사업과 중복돼 내년부터 서비스 철수가 불가피하다는 것. 또 정부의 필요성에 의해 시작된 행정통신 역시 매출액이 연간 29억원에 불과한반면 적자규모는 12배가 넘는 3백68억원에 달하며 연간 한국통신이 적자액중 3백29억원을 부담하고 있어 퇴출사업으로 지정됐다. 이와 함께 지난 7월부터 상용화를 계획했던 전화비디오 역시 시범서비스 1천5백회선으로는 상용화가 곤란한데다 상용화를 위해서는 막대한 투자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돼 아예 퇴출사업으로 확정됐다. 연간 인건비가 82억원에 달하나 수익은 3억원에 불과한 선박무선통신 역시 해양경찰청과 수협에서 유사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데다 인말샛 인공위성과 이동통신으로 대체가 가능해 퇴출될 전망이다. 공항무선통신의 경우 영업수익이 1억8천만원인데 비해 직접인건비는 이보다 4억원이 많은 5억8천만원에 달해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한국통신 자회사인 한국TRS에 넘기기로 했다. 이처럼 한국통신이 여러 사업을 무더기로 퇴출.한계산업으로 정한데 대해 사전에 충분히 시장조사나 타당성 등을 검토하지 않은채 무리하게 사업을 추진하거나 책임성이 결여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한국통신은 퇴출 및 한계산업으로 확정된 이들 사업 종사자들에 대해 직무전환교육을 시켜 마케팅요원과 고객상담실, 정보통신분야 등 고부가가치업종에 재배치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