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靑 "요즘 보도 감정적" 언론에 역공

홍보처 폐지, 각 당 모두 당론 정해지면 입장 밝힐 것

정부의 기자실 통폐합조치가 발표된 직후인 지난 23일 언론들의 집단 반발에 대해 수세적 위치에서 당혹스러움을 나타냈던 청와대가 이번에는 이 같은 보도 태도에 대한 문제점까지 지적하는 등 공세적 입장으로 바뀌었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25일 “(언론들의 요즘 보도 방향은)직종 이기주의에 따라 과장ㆍ왜곡 보도되고 있으며 철저히 감정 중심으로 흐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의 이른바 ‘취재 선진화 방안’의 팩트(발표 내용) 자체를 틀리게 전달하는 것이 발견되고 있다는 주장도 내놓고 있다. 그러면서 청와대는 차제에 한국 언론들이 보도 방식부터 바꾸라는 주문까지 하고 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요즘 스트레이트성 기사가 무슨 의미가 있느냐. 약간의 시차를 두고 금세 알려진다. 이제 국내 신문들도 기획과 연구 중심의 보도로 전환해야 하며 이번 조치로 그 같은 문화가 자연스럽게 형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도 “언론들은 취재 방식과 스타일을 바꾸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언론의 품질을 높여 국민에게 보다 정확한 정보와 다양한 시각을 제공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언론들이 이런 점은 제쳐둔 채 ‘알 권리’가 제한된다는 과장된 내용만을 전달한다는 것이 청와대 관계자들의 입장이다. 청와대는 정치권 등을 중심으로 나오고 있는 국정홍보처 폐지론에 대해서도 수긍할 수 없다는 자세를 고수하고 있다. 천호선 대변인은 “지금 국정 운영에 있어서 국민과 소통이 갖는 중요성, 홍보의 통합 조정 기능을 갖는 필요성에 대해 이론의 여지가 없다고 본다”고 밝혔다. 덧붙여 정치권의 홍보처 폐지 주장에 대해서는 “한나라당 대표가 그런 발언을 했지만 다른 정당이 당론을 결정하거나 공식적 입장을 표명한 것은 없는 것으로 안다”며 “국회에서 구체적 의견이 나온다면 이에 대한 청와대의 의견을 언제든 이야기할 준비가 돼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홍보처 폐지론은 일고의 가치가 없다는 설명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