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제대혈 줄기세포로 뇌졸중 치료' 첫 임상

가톨릭 성체줄기세포사업단·메디포스트 공동 연구팀

난치성 질환인 `뇌졸중'을 제대혈(탯줄혈액)에 들어있는 줄기세포로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임상시험이 국내 처음으로 시도된다. 특히 이번 임상은 천주교가 세포치료사업단을 설립하고 성체줄기세포에 관련된연구와 임상시험에 100억원을 지원키로 한 이후 처음 실시되는 줄기세포 임상이라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가톨릭 세포치료사업단 전신수 교수팀(강남성모병원 신경외과)은 뇌졸중 환자에게 제대혈에서 추출한 `간엽줄기세포'를 이식해 치료 효과를 보기 위한 연구자 임상시험을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신청, 최근 허가를 받았다고 23일 밝혔다. 연골, 뼈, 근육, 신경 등을 만드는 간엽줄기세포는 골수에만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최근 제대혈 속에도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세계적으로 이를 이용한세포치료제 개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환자에게 주입되는 간엽줄기세포는 바이오기업인 메디포스트[078160]에서 만든세포치료제가 사용될 예정이다. 의료진은 이번 임상시험을 위해 병원 기관윤리위원회(IRB)와 가톨릭 성체줄기세포사업단의 윤리문제, 적정성 여부 등 내부심의를 모두 거쳤다고 덧붙였다. 임상시험 대상자는 18세 이상 65세 미만의 환자 13명으로 ▲뇌손상 부위에 신경간엽줄기세포가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는 환자 ▲뇌졸중 발생 후 최소 6개월 이상 경과한 환자(급성뇌졸중 제외) ▲뇌졸중 발생 후 질병의 진행 및 회복이 멈춰진 환자등으로 제한된다. 참가자는 입원, 시술비 등의 혜택을 무료로 받을 수 있으며 임상시험 기간은 12개월 정도가 될 것으로 의료진은 내다봤다. 전신수 교수는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보면 제대혈 간엽줄기세포는 신경세포로분화가 가능하고 획득하기가 쉬워 임상적으로 유용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면서 "이번 임상을 통해 뇌졸중의 병변 부위 및 증상에 따른 이식 세포수 등이 결정되고치료효과가 입증되면 줄기세포를 이용한 뇌졸중 치료가 본격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