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거구제 조정 등 정개특위는 새정치연합 2·8 전대 이후 구성도 검토
차기 총리 물망에 오르고 있는 이완구(사진)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31일 “내년에는 공무원연금과 공공분야, 규제개혁과 함께 경제살리기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이는 내년 5월 7일까지 원내대표 임기를 마치든 2~3월 중 총리에 발탁되든 자신이 책임지고 공무원연금 개혁을 마무리하는 것은 물론 공기업 개혁과 규제완화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다만 이 원내대표는 공무원연금 개혁과 관련, 야당의 목소리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방식으로 4월 임시국회에서 마무리하겠다는 복안이다. 최근 2PM(이+Prime Minister)이라는 별명이 생긴 이 원내대표는 부드러운 리더십과 국정 장악력으로 박 대통령으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원내대표는 이날 “전국 단위의 선거가 없는 새해는 박근혜 정부의 국정 과제가 탄력을 받아 비정상의 정상화를 할 수 있는 골든 타임”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우리나라 경제 여건이 점점 나빠지고 있어 정말 심각한 지경에 이를 수 있다”면서 “내년에는 여야가 정쟁을 지양하고 국민 통합과 화합이라는 기조 하에 나라를 반석 위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최근 불거진 계파간 갈등 양상과 관련해서는 “의원 상호간 친소관계는 있을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새누리당에 계파간 갈등이 없다”면서 “모두 협력해서 국정 운영에 협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원내대표는 하지만 정의화 국회의장이 전날 새해 1월 구성하겠다고 밝힌 국회 정치개혁특위 구성에 대해서는 “이 문제는 상대가 있는 만큼 야당의 형편까지 고려해 천천히 검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특위가 선거구 인구편차를 2대1 이내로 줄이라는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선거구획정을 포함한 민감한 사안을 다뤄야 하는 만큼 2월 열리는 새정치민주연합의 전당대회 이후로 늦출 수도 있다는 의미로 보인다. 정 의장은 전날 새해 정치권의 최대 화두 중 하나로 예상되는 국회의원 선거구제 조정 등과 관련, “내년 1월 중 국회 정치개혁특위를 구성하도록 하겠다”며 “가능한 한 빨리 국회 정치개혁특위를 구성해 선거구 문제부터 논의하도록 여야 원내대표와 협의하겠다”고 강조했었다. 그러면서 개헌을 다루기 위해 별도 국회 개헌특위를 구성하는 방법도 있지만 정개특위에서 개헌분과를 둘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현행 소선거구제의 중·대선거구제 전환,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 석패율제(지역구와 비례대표 동시 출마를 허용한 뒤 지역구에서 근소한 차이로 낙선한 후보를 비례대표로 구제하는 제도) 도입 등을 제안했다.
이 원내대표는 “올해 예산안을 법정 시한 내 처리하면서 연말연시면 불투명했던 분위기가 예측 가능하게 바뀌어 보람을 느낀다”면서 “여야가 역지사지하는 마음으로 이렇게 몇 년만 간다면 정치권이 더이상 천덕꾸러기로 비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