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부, 日교과서 재수정 요구안 전달

35곳 근본적 시정 공식요구정부는 8일 일본 중학 역사교과서의 왜곡기술을 시정하기 위해 임나일본부설 서술, 군대위안부 누락ㆍ축소 등 35곳에 대한 재수정 요구를 담은 문서를 공식 전달했다. 한승수 외교통상부 장관은 이날 오전 데라다 데루스케 주한 일본대사를 불러 A4용지 36장 분량짜리 재수정 요구안과 비망록을 전달하고 근본적인 시정을 촉구했다. 한 장관은 데리다 대사에게 "조속한 시일내에 적극적이고 성의있는 시정조치를 취하라"며 "역사왜곡 문제가 재발되지 않도록 근본적인 대책을 강구해 달라"고 주문했다. 이에 데라다 대사는 "한국 정부의 입장을 본국에 정확하고 신속하게 전달할 것이며 무겁게 받아들인다"고 말했다. 정부가 이날 전달한 35개 재수정 요구 항목은 임나일본부설 등 고대사 왜곡서술, 한국강제합병 미화, 관동대지진 등 가해사실 은폐, 군대위안부 축소ㆍ누락 등 근현대사를 광범위하게 포괄하고 있다. 교과서 별로는 '새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측의 후소샤(扶桑社) 교과서가 25개 항목으로 가장 많으며 나머지 7종의 교과서는 10개 항목이 포함됐다. 한편 정부는 일본 정부의 성의있는 조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유엔 등 국제기구를 통한 외교적 압박과 대일 문화개방 일정 전면 연기 등 단계적인 외교대응책을 마련키로 했다. 또 한ㆍ일 역사학자 교류, 국사교육 강화 등 중장기 대책마련과 함께 정부내 '우리역사 바로알리기 센터'를 설치해 일본 역사교과서의 부당성 등을 국제사회에 적극 홍보키로 했다. 임성준 외교통상부 차관보는 이날 브리핑을 통해 "이달 하순 중국에서 열릴 ASEM 외무장관회담 기간중 한일 외무장관회담을 갖고 재수정을 다시 한번 강력히 요구할 것"이라며 "일본의 시정노력 여하에 따라 정부의 대응도 다를 것"이라고 말해 정부의 단호한 입장을 밝혔다. 국방부도 이날 내달초 제주도 해역에서 실시키로 했던 '한ㆍ일 공동 해상수색ㆍ구조훈련'을 일본 정부의 납득할 만한 시정조치가 있을 때까지 무기한 연기를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김홍길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