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천일염 건강 소금 아니네"

미네랄 함량이 높아 ‘건강 소금’으로 인기가 높은 천일염의 나트륨 함량이 일반 소금만큼 높다며 보건당국이 주의를 당부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천일염과 정제염, 재제조염(일명 꽃소금) 등의 염화나트륨 함량을 조사한 결과 모두 80%를 넘었다고 13일 밝혔다. 천일염의 염화나트륨(NaCl) 함량은 호주ㆍ멕시코 98.99%, 베트남ㆍ일본 90.53%, 프랑스 89.89%, 중국 88.47%, 국산 82.85%으로 각각 나타났다. 국산 정제염과 재제조염의 염화나트륨 함량이 각각 99%와 88%인 점을 감안하면 천일염이라고 해서 염화나트륨 함량이 낮다고 볼 수는 없는 셈이다. 천일염은 바닷물을 끌어들여 태양열과 바람을 이용해 수분을 증발시켜 만든 소금이며 정제염은 맛소금 등으로 나트륨과 염소 이온만을 분리해 합성시킨 소금을 일컫는다. 재제조염은 원료 소금을 재결정화시킨 소금이다. 식약청 관계자는 “소금은 많이 섭취하면 혈관을 수축시켜 고혈압을 일으킬 뿐 아니라 심혈관계 질환과 신장병 등 합병증을 일으키는데다 음식을 더 많이 먹게 한다”며 “최근 일본의 방사능 유출 사고 이후 천일염이 건강 소금으로 인기를 끌지만, 보통 소금과 마찬가지로 염화나트륨 함량이 높아 과다섭취를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체내에 필요한 최소 소금 필요량은 0.5~1.0g으로 매우 적은 양이고 우리나라 국민 대다수가 소금을 과다섭취하고 있는 만큼 저염제품을 이용하고 짜지않게 먹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식약청은 강조했다. 식약청 관계자는 “소금에는 기본적으로 많이 먹으면 질병의 위험을 높이는 나트륨이 함유돼 있다”며 “종류에 관계없이 하루 소금 섭취량을 5g 미만으로 제한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